"우리집 정원에 놀러 오세요".. 1년에 이틀만 공개하는 정릉동의 특별한 정원

조희선 2022. 5. 13. 18: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성북구 북악산로5길에 들어서면 오밀조밀 모여 있는 단독주택들이 눈에 띈다.

2014년 처음 선보인 정릉동 정원 축제는 2008년 몰아닥친 재개발·재건축 바람이 계기가 됐다.

'도도화 정원'의 주인이기도 한 김경숙 정동마실 대표는 "처음 축제를 시작할 때는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서 했는데 막상 해보니 벅차서 봄에만 선보이게 됐다"며 "코로나19 사태가 있기 전에는 어린이 연극 공연도 하고 주민들이 그린 그림도 전시도 했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3~14일, 정릉 교수단지 정원 페스티벌 개최
올 축제에는 13개 주택 참여..남의 집 정원 엿보는 재미
서울 성북구 정릉동 ‘정릉 교수단지’의 단독주택에 사는 주민들은 매해 자신의 집 정원을 외부에 공개하는 정원 축제를 하고 있다. 사진은 축제 방문객들이 방수자 씨의 ‘하모니 정원’을 구경하는 모습.

서울 성북구 북악산로5길에 들어서면 오밀조밀 모여 있는 단독주택들이 눈에 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 중 한 곳인 정릉(사적 제208호) 인근에 있는 ‘정릉 교수단지’다. 단독주택 100여 가구가 모여 있는 이 마을 주민들은 매년 이맘때 이틀간 자신의 집 대문을 활짝 연다. 정성껏 가꾼 자신의 정원을 누구나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올해 11회째를 맞은 ‘정릉교수단지 정원 페스티벌’은 성북구 주민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찾아올 만큼 입소문이 났다. 올해는 13~14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남의 집’ 정원을 마음껏 구경할 수 있다. 축제 첫날인 13일 오전부터 경기 안산, 인천에서 온 방문객들이 정원을 구경하고 있었다.

올해 축제에는 13개 주택이 참여했다. ‘하모니 정원’, ‘도도화 정원’, ‘매화 향기’, ‘선이 머무는 집’, ‘뜰사랑’ 등 주민들이 직접 지은 정원의 이름만큼 각 정원의 풍경도 개성 넘쳤다.

이날 오전에 만난 ‘하모니 정원’의 주인 방수자씨는 정원을 방문한 사람들을 맞이하느라 분주했다. 45년간 정원을 정성껏 가꾼 덕분에 커다란 나무들과 잔디밭에 심어져 있는 소담한 꽃들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아름다움을 뽐냈다.

방씨는 “이곳에 처음 살 때부터 정원을 가꾸기 시작했는데 지나가는 사람들이 꽃 핀 모습을 보면 다들 좋아하더라”라며 “강남으로 이사를 했더라면 지금보다 집값은 올랐겠지만 이런 정원은 가질 수 없었을 것”이라며 웃었다.

방씨의 ‘하모니 정원’은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방씨는 “다문화 가정 부부와 동 주민센터 직원이 이 정원에서 결혼식을 한 적도 있었고, 한 단체와 협력해서 8년간 음악 공연을 진행하기도 했었다”며 “개인 정원이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쓰여 뜻깊다”고 말했다.

서울 성북구 정릉동 ‘정릉 교수단지’의 단독주택에 사는 주민들은 매해 자신의 집 정원을 외부에 공개하는 정원 축제를 하고 있다. 사진은 축제 방문객들이 김경숙 씨의 ‘도도화 정원’을 구경하는 모습.

2014년 처음 선보인 정릉동 정원 축제는 2008년 몰아닥친 재개발·재건축 바람이 계기가 됐다. 당시 이 일대에 있는 단독주택을 철거하고 고층 아파트를 짓기 위해 재건축 조합이 결성됐고, 지역 주민들은 정릉 주변 경관이 훼손될 수 있다며 재건축 반대 활동에 나섰다. 주민들이 수년간에 걸쳐 재건축 반대를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벌인 덕분에 조합 설립이 취소되고, 지난해에는 서울시가 이 일대 재건축 정비구역을 해제했다.

뜻을 모았던 주민들은 이후에도 ‘정릉마실’이라는 이름의 모임을 만들어 마을을 가꾸는 활동을 하고 있다. ‘도도화 정원’의 주인이기도 한 김경숙 정동마실 대표는 “처음 축제를 시작할 때는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서 했는데 막상 해보니 벅차서 봄에만 선보이게 됐다”며 “코로나19 사태가 있기 전에는 어린이 연극 공연도 하고 주민들이 그린 그림도 전시도 했었다”고 말했다.

그는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 상황이 심각해서 축제를 못 했었는데 이 축제를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서 지난해부터 이벤트는 하지 않고 정원만 공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경숙씨가 가꾼 ‘도도화 정원’의 모습.

김씨는 평소 도자기와 꽃을 좋아하는 까닭에 정원 이름도 ‘도란도란 도자기랑 꽃이랑’이라는 뜻의 ‘도도화 정원’이라고 붙였다. 작은 정원이지만 150종이 넘는 꽃들이 화사하게 피어 있는 덕분에 이날 정원을 찾는 방문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김씨는 “스스로 애착을 두고 가꾼 예쁜 정원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다는 것도 좋지만 이 아름다운 풍경을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이웃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서 “앞으로도 이웃들과 마을을 아름답게 꾸미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조희선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