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원 다른 초연결 구현.. 삼성 '6G기술 선점' 박차

장병철 기자 2022. 5. 13.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최초로 5세대(G) 이동통신 상용화에 성공한 삼성전자가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분야에서도 '초격차' 위상을 견고히 다지기 위한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와 학계·업계 관계자들이 참가해 미래 기술을 논의·공유하기 위한 취지로, 제1회 '삼성 6G 포럼(Samsung 6G Forum)'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용(오른쪽)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11월 미국 이동통신기업 ‘버라이즌’ 본사를 방문해 한스 베스트베리 CEO와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제1회 삼성 6G 포럼

세계적 전문가 강연·기술 논의

이재용 점찍은 ‘미래 핵심산업’

탄탄한 글로벌 네트워크 앞세워

해외 통신장비 수주 적극 나서

세계 최초로 5세대(G) 이동통신 상용화에 성공한 삼성전자가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분야에서도 ‘초격차’ 위상을 견고히 다지기 위한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6G는 ‘더 멀리 내다보며 선제적으로 미래를 준비하자’는 이재용 부회장의 의지에 맞춰 삼성이 미래 먹거리로 설정한 핵심 사업이다. 삼성전자는 차별화된 기술력과 이 부회장의 탄탄한 글로벌 네트워크 등을 앞세워 6G 생태계 구축을 주도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와 학계·업계 관계자들이 참가해 미래 기술을 논의·공유하기 위한 취지로, 제1회 ‘삼성 6G 포럼(Samsung 6G Forum)’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 시대 구현’을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는 전문가 강연, 패널 토의 등으로 진행됐다. 승현준 삼성리서치 연구소장은 인사말을 통해 “5G 네트워크의 상용화는 여전히 진행 중이나 6G 연구·개발(R&D)은 이미 시작됐다”며 “6G 기술은 모든 것이 연결되는 ‘초연결’의 경험을 제공할 것이며 바로 지금이 6G를 준비할 적절한 시기”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차세대 통신 사업 육성을 직접 주도하고 있는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6G를 중심으로 한 이동통신 사업이 ‘반도체 신화’에 필적하는 이재용 리더십 시대의 ‘플래그십 사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의 가능성 때문이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12월 청와대에서 열린 기업인 간담회에서 “통신도 백신만큼 중요한 인프라로 통신과 백신 모두 선제로 투자해야 아쉬울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며 “6G도 내부적으로 2년 전부터 팀을 둬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 삼성전자는 지난 2019년 5월 삼성리서치 산하에 차세대 통신연구센터를 설립해 6G 선행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0년 7월엔 ‘6G 백서’를 통해 차세대 6G 이동통신 비전을 제시했다. 이달 초에도 ‘6G 주파수 백서(주파수 영역의 확장)’를 발표하고 차세대 통신 6G 주파수 확보를 위한 글로벌 연구를 제안했다.

이 부회장의 글로벌 네트워크는 앞으로 통신장비 사업 분야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으로 삼성은 기대하고 있다. 이 부회장은 지난 2020년 버라이즌과의 7조9000억 원 규모의 5G 장기 계약과 지난해 NTT도코모와의 통신장비 계약 당시 직접 통신사 CEO와 만나 협상을 진척시켰다. 이 부회장은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그룹 회장 자녀들의 결혼식에 국내 기업인 중 유일하게 초청받아 인도를 방문해 친분을 쌓기도 했다. 인도 최대 통신사인 릴라이언스 지오는 현재 전국 LTE 네트워크에 100% 삼성 기지국을 쓰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방한한 찰리 에르겐 디시네트워크 회장과 북한산 산행을 했는데, 최근 1조 원대의 5G 통신장비 공급 계약을 맺는 데 성공했다.

장병철 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