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낙수효과로는 충청권 성장 한계..중원 신산업벨트 구축해야"

김기훈 2022. 5. 13. 0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청 지역이 반도체·배터리 등 신산업 분야의 생산을 담당하며 양적 성장을 이뤘지만, 여전히 수도권 의존도가 심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수도권에 집중된 반도체·배터리 등 신산업의 생산기지 역할을 인접 지역인 충청권이 맡으며 새 성장 모멘텀이 마련된 것이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새 정부가 공약한 중원 신산업벨트 구상에 지자체와 지역 산업계도 적극 참여해 명실상부한 충청권 브랜드를 키워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한상의, 제3차 지역경제포럼 개최.."신산업 맞춤형 정책 지원 필요"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충청 지역이 반도체·배터리 등 신산업 분야의 생산을 담당하며 양적 성장을 이뤘지만, 여전히 수도권 의존도가 심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오전 대전상의 중회의실에서 '제3차 지역경제포럼'을 열었다고 밝혔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충청지역의 지역내총생산(GRDP) 연평균 성장률은 3.9%로, 전국 6개 권역 중 2위를 차지했다.

수도권에 집중된 반도체·배터리 등 신산업의 생산기지 역할을 인접 지역인 충청권이 맡으며 새 성장 모멘텀이 마련된 것이다.

다만 이런 외형적 성장에도 산업생태계가 열악해 수도권을 따라잡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신산업 생산 현장의 기술 인력이 부족할 뿐 아니라 지역에서 신산업을 이끌어갈 기업 본사나 연구개발(R&D) 센터도 전무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실제 대한상의가 반도체·배터리·바이오 분야에서 충청권에 생산 공장을 둔 8개 주요 기업의 실태를 파악해 본 결과 본사를 충청권에 둔 기업은 한 곳도 없었다.

R&D 센터의 경우도 8개 기업의 총 10개 센터 가운데 단 2곳만 충청권에 있었다.

신산업 분야 기술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산업기술인력수급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충청권의 경우 2020년 기준 기술인력 부족 인원은 5천935명으로, 수도권 다음으로 많았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차미숙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충청지역은 수도권과 인접해 다른 지역보다 청년인구 유출이 적었으나, 최근 지역 내 신산업 분야 일자리가 늘면서 기술인력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충청권의 불완전한 산업생태계를 온전히 복원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도 나온다.

지역 경제계는 새 정부가 공약으로 내건 '중원 신산업벨트' 조성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중원 신산업벨트란 과학기술과 신산업의 중심지인 대전·충남북을 중심으로 강원권과 호남권을 연계해 미래산업과 스타트업 벨트를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김양중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은 "과학기술의 요람인 충청지역에 최근 반도체·배터리·바이오 공장까지 들어서면서 신산업 거점으로서의 국가적 기대감이 커졌지만 상호 간 유기적 연계는 아직 부족한 편"이라며 "정부가 충청지역에 약속한 중원 신산업벨트 공약을 조속히 구체화하고 추진에 속도를 내달라"고 당부했다.

충청지역의 산업 환경과 기업 여건을 개선하는 데 새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는 요구도 많았다.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은 "충청지역이 신산업 거점지역으로 거듭나려면 거기에 부합하는 맞춤형 정책지원과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며 "조만간 시행될 국가첨단산업특별법에 기술인력 부족 문제 해소방안과 대규모 시설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 등을 폭넓게 담아 달라"고 요청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새 정부가 공약한 중원 신산업벨트 구상에 지자체와 지역 산업계도 적극 참여해 명실상부한 충청권 브랜드를 키워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kihu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