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릿함 자아내는 밤거리 두 청춘.. 20대 성장통과 삶에 스며든 죽음

윤수경 2022. 5. 13. 05: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밤 12시가 넘은 시각.

제18회 세계문학상 수상작인 '우리의 밤이 시작되는 곳'은 '육천 원과 만 원 사이를 오가다 장례식장까지' 오게 된, 20대 청춘의 밤과 죽음을 대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밤이 시작되는 곳/고요한 지음/나무옆의자/232쪽/1만 3000원

밤 12시가 넘은 시각. 장례식장 아르바이트를 끝내고 나온 20대 남녀는 그 시간까지 불이 켜져 있던 맥도날드를 찾는다. 새벽 첫차가 올 때까지 맥도날드는 갈 곳 없는 사람들의 안식처가 된다. 하지만 맥도날드의 불빛은 이들이 정주하기엔 불안정하다. 두 청춘은 서울의 밤거리를 부유한다. 서대문, 광화문, 청계천, 종로 일대까지 이어진 밤 산책은 오토바이를 타고 동대문, 대학로, 다시 남산으로까지 확대된다. 이들의 밤은 오렌지처럼 경쾌하고 싱그럽지만 한편으론 쓸쓸하고 아릿한 감정을 자아낸다.

제18회 세계문학상 수상작인 ‘우리의 밤이 시작되는 곳’은 ‘육천 원과 만 원 사이를 오가다 장례식장까지’ 오게 된, 20대 청춘의 밤과 죽음을 대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다. “죽음의 이미지가 압도하는 장례식장을 배경으로, 서울 밤의 시내를 풍경으로 세계를 스케치하는 이 소설은 청춘의 막막함과 외로움을 군더더기 없이 표현하는 가운데 여백의 미를 보여 준다”는 심사평처럼 소설은 청춘의 방황과 성장, 죽음의 의미를 깊지만 무겁지 않게 그려 낸다.

이 소설의 또 다른 매력은 삶 속에 스며 있는 죽음을 생각하게 한다는 점이다.

어릴 적 목조르기 게임을 하다가 자신이 누나를 죽였다고 생각하며 하얀 뱀의 환상을 보는 재호, 이른 나이에 은퇴하고 ‘아름다운 죽음을 준비하는 사람들’(아죽사) 모임을 운영하는 아버지, 죽음과 친숙해지고 덜 슬프기를 바라는 마음에 빨간색 양복을 입고 조문을 가고, 아죽사 멤버들에게 빨간 양복을 선물하는 일본인 히로시의 모습을 통해 죽음을 껴안는 자세를 가만히 들여다볼 기회를 얻는다.

장례식장을 둘러싼 하얀 벚꽃, 달빛을 받으며 날아오르는 오토바이, 청계천에서 인왕산으로 날아오르는 물고기,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 누군가 덜 슬프기를 바라는 마음에 입은 빨간 양복 등이 주는 선명한 이미지는 떠도는 청춘과 죽음으로 상처 입은 이들을 ‘쿨하게’ 보듬는다.

윤수경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