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하 블랙홀 이미지 처음 포착됐다, 과학사에 남을 '성과'

2022. 5. 12. 22: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태양계가 속한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가 포착됐다.

이는 지난 2019년 4월 지구에서 약 5500만 광년 떨어진 M85 은하의 초대질량 블랙홀 실제 이미지를 과학사상 처음 포착해 공개한 뒤 3년 만의 성과로 꼽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87 은하와 우리은하 중심부에 자리잡은 초대질량블랙홀 실제 이미지[EHT]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태양계가 속한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가 포착됐다.

세계 주요 전파망원경을 연결해 블랙홀을 관측해 온 '사건지평선망원경'(EHT) 프로젝트 과학자들은 12일 오후 10시(이하 한국시간) 워싱턴을 비롯한 6곳에서 동시에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 은하 중앙에서 포착한 블랙홀 이미지를 내보였다.

이는 지난 2019년 4월 지구에서 약 5500만 광년 떨어진 M85 은하의 초대질량 블랙홀 실제 이미지를 과학사상 처음 포착해 공개한 뒤 3년 만의 성과로 꼽힌다.

우리 은하 중심부의 블랙홀은 '궁수자리(Sagittarius) A*'로도 불린다.

지구에서 약 2만7000광년 떨어진 궁수자리에 자리잡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형태적 유사성에 맞춰 네 그룹으로 나눈 궁수자리 A 블랙홀 이미지[EHT]

M87 은하와 비교해 2000분의 1밖에 안 되는 가까운 거리지만, 질량이 태양의 430만배로 65억배에 달한 M87 은하 블랙홀보다 훨씬 작다.

이와 함께 두꺼운 가스와 먼지 구름에 가려져 있기도 해 실제 이미지를 잡아내는 게 더욱 어려웠다.

이번 성과는 빛도 빠져나오지 못해 보이지 않는 블랙홀의 실제 모습을 본 것에 넘어 규명되지 않은 게 많은 블랙홀 연구의 진전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yul@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