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배당귀족 ETF '노블' 국내서 투자하세요

문지웅 2022. 5. 12. 17: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 17일 거래소 상장
노블과 같은 기초지수 사용
운용보수는 0.10%P 저렴해
25년이상 배당금 지급 늘린
3M·캐터필러·셰브론 등 편입
노블 올들어 수익률 -8.56%
S&P500 -17.96%보다 선방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미국 투자자는 물론 서학개미들에게 친숙한 배당귀족 상장지수펀드(ETF) '노블(NOBL)'과 같은 지수를 사용하는 상품을 한국에 상장한다. 노블은 프로셰어스가 2013년 미국에 상장해 현재 12조원 규모로 성장한 배당성장을 테마로 한 상품이다.

적어도 25년 이상 주당 배당금을 꾸준히 늘려온 기업들만 편입하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 서학개미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미국에 상장돼 있어 거래가 불편했는데 이제 한국에도 상장하게 돼 비용과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운용은 오는 17일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ETF'를 거래소에 상장한다. 이 상품이 추종하는 기초지수는 'S&P500 디비던드 아리스토크래츠 지수(S&P500 Dividend Aristocrats Index)'로 미국에 상장돼 있는 노블과 동일하다. 같은 기초지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같은 상품이라고 볼 수 있다.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은 크게 3가지 특징을 가진다. 우선 3M, 캐터필러, 셰브론 등 적어도 25년 이상 배당금을 꾸준히 늘려온 기업 40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25년 이상 해마다 배당금을 늘려왔다는 건 펀더멘털이 튼튼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기업으로 볼 수 있다.

상품명에 '배당'이 들어가지만 배당수익은 오히려 덤이다. 펀더멘털이 좋은 기업들로 상품이 구성되다 보니 주가수익률도 높다. 실제로 11일(현지시간) 종가 기준 올해 노블 수익률은 -8.56%이지만 S&P500은 -17.96%로 노블이 훨씬 높다. 하락장에서 배당귀족주들의 수익률 방어 효과가 좋기 때문이다.

배당귀족주는 물가상승률이 올라가도 가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는 높은 가격결정력을 가졌다.

미래에셋운용 관계자는 "배당을 25년간 지속 증가시킨 기업들은 꾸준한 실적을 기반으로 각 산업에서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며 "초인플레이션 시기에도 안정적인 실적을 기대할 수 있으며, 꾸준한 배당은 일종의 안전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연금 등 장기 투자에 적합한 상품"이라고 말했다.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ETF는 미국에 상장된 노블과 비교해 보수, 세금, 거래 편의성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유리하다. 우선 보수를 보면 노블은 0.35%이지만 미래에셋 배당귀족은 0.25%로 0.10%포인트 저렴하다.

세금의 경우 국내에 상장하는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은 매매차익이 발생하면 15.4%의 배당소득세를 내야 한다. 하지만 미국에 상장된 노블은 양도소득세 22%가 부과된다. 두 상품 모두 분배금에 대해서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나온다.

미래에셋 상품은 개인연금, 퇴직연금 등 연금계좌로 가입할 수 있지만 미국에 상장된 노블은 연금계좌로 투자할 수 없다. 또한 노블은 밤잠을 설치며 거래해야 하지만 미래에셋 상품은 국내 상장하기 때문에 장중에 매매할 수 있어 거래 편의성이 높다.

상품명에 배당이 들어가지만 배당수익률보다 주가수익률에 주목해야 할 상품이다. 펀더멘털이 튼튼한 기업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배당컷(배당 삭감)에 따른 주가 폭락 우려가 작아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매매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