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안지구 난민촌 취재 美기자 피격 사망..이-팔 긴장 고조
카이로=황성호 특파원 2022. 5. 12. 16: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팔레스타인계 미국인 여성 기자 시린 아부아클레(55)가 11일 팔레스타인 난민촌 취재 도중 머리에 총격을 받고 숨져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스라엘군 소행일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사실로 확인되면 아랍권 전역에서 거센 반이스라엘 시위가 발발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목격자는 이스라엘군이 아부아클레 기자가 쓰러진 후에도 사격을 멈추지 않았다며 고의 사격 가능성을 제기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계 미국인 여성 기자 시린 아부아클레(55)가 11일 팔레스타인 난민촌 취재 도중 머리에 총격을 받고 숨져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스라엘군 소행일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사실로 확인되면 아랍권 전역에서 거센 반이스라엘 시위가 발발할 것으로 보인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자국민 사망을 규탄하며 즉각 이스라엘에 철저한 진상 조사를 촉구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알자지라 소속 아부아클레기자는 이날 요르단강 서안지구 제닌의 난민촌에서 취재를 하던 중 갑작스레 날아든 총탄을 맞았다. 당시 보호용 헬멧과 ‘프레스(Press·언론)’이라고 적힌 조끼를 입었음에도 공격을 피하지 못했다.
현장에 같이 있던 또 다른 알자지라 기자 알리 알사무디 역시 등에 총상을 입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 그는 “이스라엘군이 촬영을 중단해달라는 요청도 없이 총격을 가했다”고 분노했다. 일부 목격자는 이스라엘군이 아부아클레 기자가 쓰러진 후에도 사격을 멈추지 않았다며 고의 사격 가능성을 제기했다.
사망 당일 치러진 그의 장례식에는 수천 명의 인파가 몰렸고 팔레스타인 국기가 관을 감쌌다. 예루살렘의 팔레스타인 기독교도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 미국으로 건너가 미 시민권을 획득했다. 1997년 알자지라가 특파원 제도를 처음 도입했을 때부터 이스라엘에 근무한 베테랑이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관여한 모든 인사가 책임을 져야 한다. 언론 자유에 대한 모독”이라고 가세했다. 이 사태가 ‘제2의 까슈끄지’ 사건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2018년 사우디아라비아의 반체제 언론인 자말 까슈끄지가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배후 조종에 의해 살해된 사건으로 이후 미국과 사우디 관계가 급격히 냉각됐다. 이스라엘과 미국의 관계 또한 상당한 균열이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알자지라 소속 아부아클레기자는 이날 요르단강 서안지구 제닌의 난민촌에서 취재를 하던 중 갑작스레 날아든 총탄을 맞았다. 당시 보호용 헬멧과 ‘프레스(Press·언론)’이라고 적힌 조끼를 입었음에도 공격을 피하지 못했다.
현장에 같이 있던 또 다른 알자지라 기자 알리 알사무디 역시 등에 총상을 입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 그는 “이스라엘군이 촬영을 중단해달라는 요청도 없이 총격을 가했다”고 분노했다. 일부 목격자는 이스라엘군이 아부아클레 기자가 쓰러진 후에도 사격을 멈추지 않았다며 고의 사격 가능성을 제기했다.
사망 당일 치러진 그의 장례식에는 수천 명의 인파가 몰렸고 팔레스타인 국기가 관을 감쌌다. 예루살렘의 팔레스타인 기독교도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 미국으로 건너가 미 시민권을 획득했다. 1997년 알자지라가 특파원 제도를 처음 도입했을 때부터 이스라엘에 근무한 베테랑이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관여한 모든 인사가 책임을 져야 한다. 언론 자유에 대한 모독”이라고 가세했다. 이 사태가 ‘제2의 까슈끄지’ 사건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2018년 사우디아라비아의 반체제 언론인 자말 까슈끄지가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배후 조종에 의해 살해된 사건으로 이후 미국과 사우디 관계가 급격히 냉각됐다. 이스라엘과 미국의 관계 또한 상당한 균열이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카이로=황성호 특파원 hsh0330@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만취해 대리비 280만원 이체, 기사는 연락두절…이럴땐 어떻게?
- 尹정부, 첫 추경안 국무회의 의결…“소상공인 보상 최대 1000만원”
- 민주보좌진協 “더 큰 성비위 제보도…당이 어쩌다 이렇게 됐나”
- ‘성추행 의혹’ 박완주, 2년 전엔 “박원순 부끄럽다”
- 尹대통령 “잘해봅시다!” 직원들 “알겠습니다!”(영상)
- 北 김정은, 결국 마스크 썼다…확진자 발생에 ‘노마스크’ 포기
- 국민의힘, 민주당에 “박원순 1년인데 달라진점 없어…김원이도 제명해야”
- “계양이 호구냐” 시민 항의에…이재명 “저런 사람도 있어야지”
- 탁현민 “내가 北 심야열병식 조언”…보수단체 “국보법 위반” 고발
- 변호인도 “할 말 없다”…4년간 10살 친손녀 성폭행한 7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