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4월 국내 주식 5.3조 팔아..3개월 연속 순유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외국인들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5조3000억원 가량 팔아 치우는 등 3개월 연속 순매도를 이어갔다.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4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인의 국내 주식 투자자금이 42억6000만 달러 빠져나가면서 3개월 연속 순유출됐다.
채권 자금의 순유입폭이 축소되면서 주식과 채권을 합한 외국인의 국내 전체 증권투자자금은 37억8000만 달러 순유출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주식투자금 42억6000만 달러 순유출…채권은 유입
전체 증권투자금 37억8000만 달러 순유출…2개월 연속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지난달 외국인들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5조3000억원 가량 팔아 치우는 등 3개월 연속 순매도를 이어갔다. 채권 자금은 순유입세를 지속했지만 유입폭이 줄어들면서 전체 증권 투자자금도 2개월 연속 순유출로 했다.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4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인의 국내 주식 투자자금이 42억6000만 달러 빠져나가면서 3개월 연속 순유출됐다. 4월 말 원·달러 환율(1255.9원)로 계산하면 약 5조3000억원 가량을 팔아 치운 셈이다.
외국인 주식 투자자금은 지난해 11월부터 올 1월까지 3개월 간 순유입됐다가 2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에 다른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순유출 전환된 후 3개월 연속 순유출을 지속하고 있다.
외국인 채권자금은 민간자금을 중심으로 4억7000만 달러 순유입되기는 했지만 지난 2월(34억9000만 달러), 3월(5억4000만 달러)과 비교해 큰 폭 축소됐다. 외국인 채권자금은 지난해 1월부터 16개월 연속 순유입세를 지속하고 있다.
채권 자금의 순유입폭이 축소되면서 주식과 채권을 합한 외국인의 국내 전체 증권투자자금은 37억8000만 달러 순유출됐다. 2개월 연속 순유출이다.
한은 관계자는 "주식자금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강화 전망,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으로 순유출이 지속됐다"며 "채권자금도 민간자금을 중심으로 순유입이 지속되면서 전체 증권투자자금도 2개월 연속 순유출됐다"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10일 종가 기준 1276.4원으로 지난 3월 말(1212.1원)과 비교해 5.0%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미 연준의 긴축 강화 우려, 중국의 봉쇄조치 확대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 우크라이나 사태의 불확실성 지속, 외국인의 국내주식 배당금 및 매도자금 환전수요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28일 1272.5원까지 상승했다.
4월 국내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의 전일대비 변동률은 전월에 비해 하락했다. 4월중 원·달러 환율의 전일대비 변동폭은 5.1원으로 한 달 전(6.9원)보다 낮아졌다.
원·달러 스왑레이트(3개월)는 지난 10일 기준 -0.31%포인트로 3월 말 보다 0.54%포인트 하락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미 연준의 정책금리 0.5%포인트 인상 등에 따른 내외금리차 축소, 국내 기관투자자의 해외투자 목적 외화자금 수요 등으로 큰 폭 하락했다.
통화스왑금리(3년)는 스왑레이트 하락, 기관투자자의 해외투자 목적 외화자금 수요에도 불구하고 국고채금리가 지난 10일(3.05%)로 3월말(2.66%) 대비 0.39%포인트 상승하고, 외국인의 금리차익거래 목적 외화자금공급 등으로 10일 기준 2.63%로 3월(2.21%)보다 0.42%포인트 상승했다.
4월 중 국내 은행 간 시장의 일평균 외환거래 규모는 330억2000만 달러로 전월(306억6000만 달러)에 비해 23억6000만 달러 증가했다.
국가의 신용 위험도를 보여주는 외평채 5년물 CDS(신용부도스와프) 프리미엄은 0.33%포인트로 전월(0.30%포인트)보다 상승했다. CDS 프리미엄이 높을 수록 부도 위험이 크다는 의미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민희 혼외자 임신, 홍상수 부인은 몰랐다
- "하늘이 보내신 대통령"…尹 생일에 '윤비어천가' 헌정한 경호처
- 전광훈, 분신사건 후 "기다려라, 기회 줄 테니 효과있는 죽음을"…선 넘은 선동
- 이지혜 가족, 日 여행 중 교통사고…"남편 뇌정지 온 것 같았다"
- '하반신 마비' 박위, 일어섰다…♥송지은 "소름 돋아"
- 김민희 엄마된다…홍상수와 불륜 9년만 임신
- 57세 이영자 "재산 상속한다면 송은이에게" 왜?
- "이슈 돌려…우리 간절함 보여주자" 커뮤니티서 논란된 글
- 배우 김보미, 출산 5일만에 안타까운 소식…무슨 일이
- 세계유산 못질 쾅쾅…KBS, 촬영분 전량 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