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81% "코로나19로 퇴직·휴직 고민했다"

김지연 2022. 5. 12. 11: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유행 장기화로 대다수 교사가 늘어난 업무 시간과 스트레스를 호소하며, 퇴직이나 휴직까지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전국 유·초·중·고교 교사 5천1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90.5%가 코로나19 장기화로 교육 활동 이외의 업무 시간이 늘었다고 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교조 조사..10명 중 9명 "코로나로 업무시간·스트레스 늘어"
교사 81% "코로나19로 퇴직·휴직 고민했다" (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코로나19 유행 장기화로 대다수 교사가 늘어난 업무 시간과 스트레스를 호소하며, 퇴직이나 휴직까지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전국 유·초·중·고교 교사 5천1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90.5%가 코로나19 장기화로 교육 활동 이외의 업무 시간이 늘었다고 답했다.

교육활동 외 업무에 쓰는 시간은 하루 3시간 이상(59.7%), 4시간 이상(34.1%) 등으로 상당수가 하루 8시간 근무 중 절반을 행정 업무에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95.7%는 '코로나19 이전보다 스트레스가 늘었다'고 답했으며 '건강 상태가 악화했다'는 답변 역시 86.6%에 달했다

코로나19 이후 건강에 이상을 느껴 병원에서 진료를 받거나 약을 먹은 적이 있다는 응답은 76.9%였으며, 건강 이상의 증상 중에서 우울감(55.7%), 수면장애(40%)도 많았다.

응답자 55%는 이런 증세로 몸이 아플 때 병가를 사용할 수 없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대체 강사 미확보, 진단서 등 까다로운 증빙자료 요구 등을 꼽았다.

코로나19 시기 퇴직 및 휴직을 고민했다는 교사는 81.5%로, '교육 활동 이외의 과도한 행정업무'와 '학교현장을 무시한 교육 당국의 일방적 지침'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교사 65.9%는 실질적 교사 건강지원 방안으로 '여론에 기댄 정책 수립이 아닌 학교현장의 요구 수용'을 꼽았으며, '교육부 관료의 탁상공론식 정책 결정 방식 개선'(56.0%)도 요구했다.

cheror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