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제친 사우디 아람코..유가급등 힘입어 '세계 시총 1위'

황민규 기자 2022. 5. 12. 11: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애플이 세계 시총 1위 기업 자리를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석유 회사 아람코에 내줬다.

아람코는 지난 2019년 12월 기업공개와 함께 전 세계 시총 1위 기업이 됐지만, 이후 2020년 8월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부양의 수혜를 입은 애플에 밀렸다가 이번에 다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플이 세계 시총 1위 기업 자리를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석유 회사 아람코에 내줬다. 최근 유가 급등과 기준금리 인상 등이 미국 빅테크(거대 IT기업)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정보 제공업체 팩트세트에 따르면 11일(현지 시각) 아람코 시총은 약 2조4300억달러(약 3117조원)로, 애플의 시총 2조3700억달러(약 3040조원)를 앞섰다고 미국 경제매체 CNBC가 보도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사 아람코의 석유시설. /EPA 연합뉴스

아람코는 지난 2019년 12월 기업공개와 함께 전 세계 시총 1위 기업이 됐지만, 이후 2020년 8월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부양의 수혜를 입은 애플에 밀렸다가 이번에 다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올해 초만 해도 애플의 시총은 한때 3조달러대까지 치솟아 아람코를 1조달러 가량 웃돌았다. 하지만 이후 애플 시총이 20% 가까이 감소한 반면 아람코 시총은 약 28% 증가했다. 이날도 미 나스닥에 상장된 애플 주가는 5.18% 급락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급변하는 국제 경제 상황이 두 회사의 희비를 갈랐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따라 유가가 급등하면서 정유회사들은 수혜를 입고 있다.

올해 초 배럴당 78달러 수준이던 브렌트유 가격이 100달러를 넘긴 가운데 아람코 주가는 상장 이후 최고 수준이다. 미국에서도 올해 들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의 에너지 업종이 40% 급등했고, 올해 S&P 500 종목 중 가장 많이 오른 기업은 107% 상승률을 기록한 석유회사 옥시덴털 페트롤리엄이었다.

반면 유가 인상은 인플레이션 심화에 불을 붙이고 있다. 또 40년 만에 최고 수준인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상 등 긴축적 통화정책을 펼치면서 기술주와 성장주들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