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 1분기 매출 411억원..엑스코프리 美 매출 3배 증가

김진수 2022. 5. 12. 10: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바이오팜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 1분기 매출 411억원, 영업손실 371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발표했다.

뇌전증 혁신 신약 '엑스코프리'(성분명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매출 및 파트너링 수익(유럽 판매 로열티, 제품 매출 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기술수출과 같은 일회성 요인이 제외되면서 영업이익 및 순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적자 전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술수출 등 일회성 요인 제외 영향으로 영업손실 371억원 기록

SK바이오팜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 1분기 매출 411억원, 영업손실 371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발표했다.

뇌전증 혁신 신약 '엑스코프리'(성분명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매출 및 파트너링 수익(유럽 판매 로열티, 제품 매출 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기술수출과 같은 일회성 요인이 제외되면서 영업이익 및 순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적자 전환했다.

SK바이오팜의 매출은 엑스코프리가 이끌었다. 엑스코프리는 올해 1분기 미국에서 317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전년 동기 대비 3배 가까이 성장했다. 특히 3월의 경우 처방건수가 1만2000건대로 상승해 최근 10년간 발매된 경쟁 약물들의 출시 23개월차 평균의 약 2배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SK바이오팜은 미국에서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에 경제활동 재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2분기부터는 세노바메이트의 영업·마케팅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K바이오팜은 광고 채널을 커넥티드TV에서 케이블 방송까지 확대하기 위해 준비 중에 있다.

SK바이오팜은 최대 강점인 '발작완전소실율'을 바탕으로 질환에 대한 인식 및 뇌전증 치료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캠페인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지난 4월 미국신경과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등 학술 활동에서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이어 유럽 지역의 경우, 파트너사 안젤리니파마가 오스트리아에서 '온투즈리'라는 제품명으로 출시돼 연내 네덜란드, 스위스,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체코, 벨기에 등에서 발매될 예정이다.

앞으로 SK바이오팜은 자체 신약 개발을 통해 중추신경계 분야 리더십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엑스코프리와 카리스바메이트(레녹스-가스토 증후군 치료제)는 각각 아시아(중국·일본·한국) 임상 3상과 글로벌 임상 3상이 순항 중이다. 차세대 뇌전증 신약 'SKL24741'과 조현병 신약 'SKL20540'은 연내 임상 2상 진입을 앞두고 있다. 또한, SK바이오팜의 첫 표적항암 신약 'SKL27969'는 IND 승인을 획득해 미국 임상 1상에 진입했다.

SK바이오팜은 남미 등 다양한 지역으로 기술수출을 적극 추진 중이며, 국내외 유망 기업과 오픈 이노베이션을 확대해 혁신 기술을 도입하는 등 고속 성장에 드라이브를 거는 중이다.

이밖에 SK바이오팜은 오픈 이노베이션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국내외 유망 제약·바이오 기업들로부터 신규 파이프라인 및 혁신 기술을 도입하거나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하는 등 전략적 관계를 구축하며 R&D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

한편, SK바이오팜은 최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로 비즈니스를 확장했다. 자체 디바이스 개발과 함께 직접 투자, 기술 제휴 등 다양한 협업 방식을 모색하며 시너지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김진수기자 kim89@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