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마감]나스닥 3% 급락..물가-금리인상 압박 재확인

신기림 기자 2022. 5. 12. 05: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뉴욕 증시가 장초반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일제히 하락했다.

소비자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덜 둔화하면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 넘게 급락했다.

이날 증시는 예상을 웃도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에 매도 압박이 심해졌다.

4월 CPI는 전월과 비교하면 0.3% 올라 상승률이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작았고 로이터 예상치(+0.2%)를 상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월 소비자 인플레이션 8.3%..예상 8.0%보다 높아
뉴욕증권거래소의 내부 객장 트레이더© 로이터=뉴스1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미국 뉴욕 증시가 장초반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일제히 하락했다. 소비자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덜 둔화하면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 넘게 급락했다.

◇"미국 생활비 위기 직전…뒤처진 연준"

11일(현지시간) 나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373.43포인트(3.18%) 급락해 1만1364.24로 거래를 마쳤다.

다우 지수는 전장 대비 326.63포인트(1.02%) 내려 3만1834.11를 기록했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은 65.87포인트(1.65%) 하락한 3935.18로 체결됐다.

이날 증시는 예상을 웃도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에 매도 압박이 심해졌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4월 CPI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8.3% 올라 3월 상승률 8.5%보다 둔화했지만 다우존스 예상치 8.1%를 상회했다.

변동성이 높은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핵심 CPI 상승률은 6.2%로 예상(+6.0%)을 웃돌았다.

4월 CPI는 전월과 비교하면 0.3% 올라 상승률이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작았고 로이터 예상치(+0.2%)를 상회했다.

지난달 소비자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덜 둔화하면서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가 물가 안정을 위한 공격적 금리인상 압박은 계속됐다.

알리안츠 수석이코노미스인 모하메드 엘-에리언은 CNBC방송의 '스쿼크 온 더 스트리트'에 출연해 "물가가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이번 CPI에 대한 시장의 실망은 완전 이해가 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생활비 위기 직전"이라며 "더 이상 단순히 우크라이나 전쟁 문제라고 치부할 수 없고 전반적 인플레이션이라는 점에서 연준은 (물가에) 크게 뒤처졌다"고 지적했다.

◇코인베이스 27% '폭삭'…유가 5% 반등

S&P500의 11개 업종 가운데 3개는 오르고 8개는 내렸다. 하락폭은 재량소비재(-3.57%) 기술(-3.3%) 통신(-1.57%)순으로 컸다. 상승폭은 에너지(+1.37%) 유틸리티(+0.77%) 소재(+0.03%)순이었다.

유가는 지난 2거래일 동안 거의 10% 급락했다가 이날 5% 반등했다. 미 서부텍사스원유( WTI) 6월 인도분 선물은 5.4% 급등해 배럴당 105.12달러로 체결됐다.

우크라이나를 경유해 유럽으로 들어가는 러시아산 가스 공급이 거의 25% 감소했다는 소식에 유가는 급등했다.

금리 인상압박으로 기술주에 대거 매도세가 몰렸다. 메타플랫폼 4.5%, 애플 5.2%, 세일스포스 3.5%, 마이크로소프트(MS) 3.3% 밀렸다.

전날 장마감 이후 부진한 실적을 내놓은 코인베이스 주가는 26.4% 폭락했다. 반면 비자, 머크는 30개 다우 종목들 가운데 가장 많이 올랐다.

shinkir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