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돈바스 찍고, 南항구로 간다"..푸틴의 작전이 소름 돋는 이유

송지유 기자 2022. 5. 12. 05: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정보당국 "러, 우크라 장기전 준비 중" 분석..동부전선 최종 목표 아냐, 남부항구 장악노려..크름반도-러 잇는 육로 완성 넘어선 큰 그림, 푸틴 목표 실행되면 우크라 '내륙국가'로 전락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뿐 아니라 남부 항구도시 전체를 장악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어 전쟁 장기화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 (C) AFP=뉴스1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으며 앞으로 몇 달 간 예측하기 어려운 긴장이 고조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러시아군이 병력을 집중 배치한 동부 돈바스(도네츠크·루한스크 주) 지역 뿐 아니라 남부 항구도시 전체를 장악해 우크라이나를 내륙국가로 전락시키겠다는 전략을 세웠다는 관측이다.

10일(현지시간) CNN·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에이브릴 헤인즈 미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이날 미 상원 군사위 청문회에서 "돈바스 전투로 우크라이나 전쟁이 확실히 끝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푸틴은 돈바스를 넘어선 목표를 성취하려고 한다"며 "그는 식량·에너지 부족, 인플레이션 악화 등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서방 세계의 결의가 약해질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워싱턴=AP/뉴시스] 에이브릴 헤인즈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10일(현지시간) 미 상원 청문회에서 답하고 있다.
푸틴, 전승절 발언 뜯어보니 '전쟁 장기화' 예고
9일(현지시간) 러시아 전승절 행사에 참석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로이터=뉴스1
미 정보당국의 이 같은 분석은 지난 9일 러시아 전승절(제2차 세계대전 승전 기념일) 푸틴 대통령의 연설 내용 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 '승리' 선언도, '확전' 선언도 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연설 직후에는 승리를 선언하기엔 애매한 전투 상황, 확전을 선언하기엔 침공 명분을 잃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서 말을 아꼈다는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서방 정보당국은 푸틴 대통령이 돈바스 등 동부전선에 그치지 않고 남부 항구도시까지 완전히 손에 넣는 시나리오를 썼다는 분석에 힘을 싣고 있다. 전승절 연설에서 우크라이나를 언급하지 않은 것은 전쟁 장기화를 예고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영국 BBC도 "적대행위를 끝낸다는 아무런 신호를 주지 않은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속하겠다는 의지 때문"이라고 짚었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은 일종의 교착 상태에 빠졌다고 미 국방부 국방정보국(DIA)는 봤다. 스콧 베리어 DIA 국장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어느 쪽이 이기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러軍 돈바스 80% 장악…남부항구 루트 확보 나설 듯
우크라이나 동부 리시찬스크에서 러시아군의 공세에 부상을 입은 우크라군이 호송되고 있다. /ⓒ AFP=뉴스1
다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의 약 80%를 장악한 상태다. 예상보다는 늦어졌지만 동부전선 장악이 코 앞인 셈이다. 러시아 국방부는 이날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접경지까지 진격했으며, 크라마토르스크 등 남은 우크라군 통제지역을 빼앗기 위해 전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가 지난 2014년 크름반도를 병합한 이후 우크라이나 내 친러 반군세력을 경제·군사적으로 지원하면서, 돈바스 일대 분리주의 세력은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의 3분의 1 가량을 장악해 왔다. 하지만 이번 전쟁으로 러시아군과 반군 세력은 이들 지역의 전면 통제권을 획득할 전망이다.

아우조해와 맞닿은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 내 아조우스탈 제철소. 러시아군은 지난 2월 24일 침공을 시작한 이후 마리우폴에 가장 오랜 시간 가장 많은 포격을 퍼부어 도시 전체가 초토화된 상태다. /ⓒ AFP=뉴스1

러시아군은 돈바스 장악이 마무리되는 대로 아우조해와 흑해를 낀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과 헤르손 등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 전쟁 초기만해도 러시아군이 마리우폴과 멜리토폴, 헤르손 등에 공격을 퍼붓는 것은 크름반도와 돈바스를 잇는 전선을 확보하려는 의도 정도로 해석됐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러시아의 목표는 구체화하고 있다.

크름반도와 맞닿은 헤르손과 멜리토폴, 마리우폴, 돈바스 루트를 장악하면 러시아 영토와 이어지는 육로가 완성될 뿐 아니라 흑해와 아우조해까지 손에 넣을 수 있다. 헤르손 옆 우크라이나 최대 물동항인 오데사까지 진영을 넓히면 항로를 통한 서방의 전쟁물자 공급을 차단하는 효과도 노릴 수 있다. 이는 동남부 항구도시를 모두 빼앗긴 우크라이나가 내륙국가로 전락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푸틴 '부동항' 야망 못 따라가는 러軍…우크라전쟁 장기화 불가피
우크라이나 항구도시 오데사의 한 쇼핑센터가 지난 9일(현지시간) 러시아군의 공격을 받아 파괴됐다. /ⓒ AFP=뉴스1
결국 이번 전쟁으로 흑해 장악력을 회복해 겨울에도 얼지 않아 연중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항구, 즉 부동항을 확보하는 것이 푸틴 대통령의 최종 목표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사기가 저하된 러시아군의 역량이 푸틴의 야망을 따라가기 어려워 장기전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제기되는 것이다. 항구도시를 빼앗기지 않으려는 우크라이나군이 필사의 반격을 펼칠 것이 불 보듯 뻔한 것도 전쟁 장기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헤인즈 DNI 국장은 "앞으로 수개월은 한층 더 예측할 수 없고 잠재적으로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유럽 일부 국가 정상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이 아닌 휴전을 이끌어내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는 이날 미 백악관에서 진행한 조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유럽인들은 최소한 휴전 협상이라도 재개되기를 원하고 있다"며 "직·간접 소통 채널을 활용해 휴전 방안을 깊이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BTS 새 앨범에 '성범죄 혐의' 정바비 노래가…소름돋는 과거 인터뷰"멤버들 다 최고인데 나는…" 이시언, '나혼산' 하차한 진짜 이유'샘해밍턴 아들' 벤틀리 뺨에 손자국이…"맞은 거 아녜요" 무슨 일?"또 이경영 나와?"…미성년자 성매매→흥행 신화, 바라보는 시선은10년간 전신마취 여성만 골라 성범죄…꼬리잡힌 男 간호사
송지유 기자 cli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