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증시 불안에 ELS 조기상환 연기 속출..손실구간 진입도(종합)

홍유담 2022. 5. 11. 14: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상환 발행 잔액, 39조원 육박..1년 전보다 41.7% 늘어
불안한 증시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홍유담 기자 = 미국발 긴축 공포로 글로벌 증시가 휘청이면서 조기 상환이 연기되거나 원금 손실 구간에 진입한 국내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이 잇따르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을 비롯한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물론 유로스톡스, 홍콩H지수(HSCEI) 등 각국 지수가 하락하자 이들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 투자자의 손실이 불가피해졌다.

ELS는 기초자산인 주가지수나 개별 종목 가격 흐름과 연계돼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유가증권이다. 일반적으로 3년 만기인 지수형 ELS 상품은 기초자산 가격이 6개월 단위로 돌아오는 조기 상환 기준을 충족했는지를 평가해 조기 상환되도록 설계됐다.

지수형 ELS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지수는 S&P500과 유로스톡스, 홍콩H지수 등이다.

11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ELS 미상환 발행 잔액은 38조9천268억원으로 1년 전보다 41.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상환 발행 잔액이 증가했다는 것은 상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ELS 상품이 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가운데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포함한 ELS의 미상환 발행 잔액은 20조3천342억원으로, 같은 기간 71.2% 증가했다. 유로스톡스50 지수와 S&P500지수의 경우도 각각 73.1%, 46.0% 늘었다.

실제 최근 미래에셋증권과 KB증권 등 국내 증권사들은 해외 지수가 행사가격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급락했다며 ELS 조기상환을 순연한다고 잇달아 공지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전날 ELS 제29830회에 대해 유로스톡스50과 S&P500지수가 조기상환 행사가격을 밑돌아 조기 상환을 순연한다고 알렸다.

해당 ELS의 조기 상환 행사가격은 기초자산인 S&P500지수 4,325.56, 유로스톡스50 4,004.32이다.

그러나 지난 9일(현지시간) S&P500지수는 3,991.24로 마쳐 종가 기준 지난해 3월 31일 이후 1년 만에 4,000을 밑돌았다. 연일 하락하고 있는 유로스톡스50 지수도 3,526.86으로 역시 4,000 아래로 추락했다.

같은 날 KB증권도 유로스톡스50, 홍콩H지수 등 기초자산 지수가 행사가격 미만으로 떨어져 하루에만 11건의 ELS 조기상환 순연 공지문을 게시했다.

홍콩H지수는 지난 3월 15일 6.58% 하락한 6,123.94까지 추락해 세계 증시에 충격을 준 이후 부진을 거듭하고 있다.

[그래픽] S&P 500·나스닥 지수 추이 [연합뉴스 자료사진]

해외 상장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 상품 중에서도 원금 손실 기준(녹인 배리어)에 진입한 상품이 속출했다.

녹인 배리어는 대개 기초자산이 최초 기준가의 40∼50% 수준에서 설정된다. 기초자산 가격이 손실 기준선 미만으로 떨어진 ELS 상품은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NH투자증권은 지난달 25일 페이스북 모기업인 메타 플랫폼(이하 메타)을 기초 자산으로 설계된 ELS 상품(21062호)이 녹인 배리어에 진입했다고 공지했다.

지난해 7월 26일 발행된 이 상품의 메타 최초 기준가는 372.46달러, 녹인 배리어 가격은 최초 기준가의 50%인 186.22달러로 각각 설계됐다.

최초 기준가는 메타가 지난해 9월 1일 세운 52주 최고가인 384.33달러에 근접할 정도로 높다. 그러나 메타 주가는 일간 활성 이용자 감소와 성장률 둔화로 하락세를 이어가다 지난달 27일 160달러까지 떨어져 52주 최저가를 기록하고서 지난 9일 196.21달러로 마쳤다.

앞서 NH투자증권은 넷플릭스를 기초자산으로 한 12개 ELS 상품이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녹인 배리어에 들어섰다고 밝혔다.

신한금융투자도 전날 넷플릭스를 기초자산으로 지난 1월 21일 발행한 3년 만기 ELS 상품이 녹인 배리어 진입했다고 공지했다.

이들 상품이 현재 녹인 배리어에 진입했다고 해서 무조건 손실을 보는 건 아니며 만기 때까지 상환 조건을 충족하면 원금과 수익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일단 녹인 배리어에 진입한 경우 기초자산 가격이 최초 기준가의 80∼90% 수준으로 회복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손해를 보게 돼 원금 손실 가능성이 크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급락했던 홍콩H지수가 어느 정도 회복돼 우려가 조금 완화된 상황이지만, 글로벌 증시 상황 자체가 좋지 않아 변동성이 적어야 유리한 ELS 상품에는 불리한 상황"이라며 "증권사들의 ELS 관련 수익도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글로벌 지수 자체의 상방이 제한된 것으로 보이는 만큼 ELS 상품에 당장 뛰어들기보다 보수적으로 투자하기를 권한다"고 덧붙였다.

김석환·박수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증시와 주요 실물자산이 모두 하락해 개인투자자들 투자심리가 극도로 위축됐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증시가 기술적으로는 단기 바닥에 거의 근접했다고 본다"며 "시장은 중국이 규제 완화 또는 부양책을 발표하거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지정학적 위험이 해소돼야 상승 여력이 생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ydho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