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하 추모제·도서 발간 이어져

김진형 2022. 5. 11. 00: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봐/내겐 꽃시절이 없었어/꽃 없이 열매 맺는 게/그게 무화과 아닌가(김지하 시 '무화과' 중)" 지난 8일 세상을 떠난 김지하(사진) 시인의 시는 언뜻 저항과 생명사상 이분법으로 보이기 쉽다.

생명이 상호작용하는 김지하의 사상과 문학은 우리 내면을 다시 보게 만든다.

이들은 "김지하 시인의 본령은 생명사상과 생명미학에 있다"며 "시인과 함께 문화활동을 했던 예술인 등을 중심으로 화해와 상생의 차원에서 추모문화제를 갖겠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달 25일 '생명 평화 천지 굿'

“이봐/내겐 꽃시절이 없었어/꽃 없이 열매 맺는 게/그게 무화과 아닌가(김지하 시 ‘무화과’ 중)”

지난 8일 세상을 떠난 김지하(사진) 시인의 시는 언뜻 저항과 생명사상 이분법으로 보이기 쉽다. 하지만 그의 시세계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성된다. 생명이 상호작용하는 김지하의 사상과 문학은 우리 내면을 다시 보게 만든다.

고인은 민주화 열기가 뜨거웠던 원주에서 생명환경운동으로 강원의 가치를 이었다. 1999년 고 박경리 작가가 공동대표로 있던 환경운동연합이 주도한 동강댐 백지화 촉구 밤샘농성에 참여하는 등 강원도를 중심으로 생명살리기운동에 열정을 다했다.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은 지난 9일 SNS를 통해 “1993년 환경운동연합을 창립할 때 나는 환경을 주장했고 시인은 생명을 주장했다. 그래서 만든 캐치프레이즈가 ‘환경은 생명이다’였다”고 밝혔다.

김지하는 1970년대 시 ‘타는 목마름으로’와 ‘오적’을 통해 유신체제에 정면으로 맞서 싸운 저항시인으로 평가된다. 염무웅 문학평론가의 표현을 빌리면 “섬광처럼 예리한 감성과 굽힐 줄 모르는 비판정신의 시인”이었 고 김지하 시인 추모 행사와 도서 발간이 이어진다.

먼저 고인의 49재를 맞는 내달 25일 서울에서 추모제 ‘생명 평화 천지굿’이 열린다. 고인의 오랜동지이자 서울대 동문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 정성헌 한국DMZ평화생명동산 이사장,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임진택 명창,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 등이 고인의 뜻과 사상·문화적 업적을 기릴 예정이다. 이들은 “김지하 시인의 본령은 생명사상과 생명미학에 있다”며 “시인과 함께 문화활동을 했던 예술인 등을 중심으로 화해와 상생의 차원에서 추모문화제를 갖겠다”고 밝혔다.

2018년 고인의 마지막 저서를 펴낸 작가출판사는 고인과의 문학세계를 연구한 책을 연내 출간한다. 손정순 작가출판사 대표를 비롯해 홍용희 문학평론가, 임동확 시인이 집필에 참여한다. 서점계도 온라인 추모전을 마련했다. 교보문고는 한 달간 ‘저항시인 김지하. 당신을 기억합니다’라는 제목의 추모전을 진행하고 있다. 알라딘도 ‘김지하 타계전’을 열고 대표작 28종을 모아 판매중이며 예스24도 추모 페이지를 열고 고인의 시·산문집 36종을 안내했다. 김진형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