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저가 아파트값 10배차..文 정부서 양극화 두 배로 심화

유영규 기자 2022. 5. 10. 0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아파트 매매 시장의 양극화가 두 배 넘게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0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시장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 5분위 배율은 10.1로 집계됐습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전인 2017년 4월만 하더라도 아파트 매매 5분위 배율은 4.7 수준이었지만, 5년간 배율이 2배 이상으로 상승하며 양극화가 심화된 것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아파트 매매 시장의 양극화가 두 배 넘게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0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시장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 5분위 배율은 10.1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2008년 12월 관련 월간 조사가 시작된 이래 역대로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5분위 배율은 주택을 가격순으로 5등분해 상위 20%(5분위)의 평균 가격을 하위 20%(1분위)의 평균 가격으로 나눈 값입니다.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사이의 가격 격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배율이 높을수록 양극화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국적으로 가격 상위 20%의 아파트가 하위 20% 아파트보다 매매가격이 10배 넘게 높은 셈입니다.

전국 하위 20%의 아파트값은 평균 1억2천313만 원, 상위 20%의 아파트값은 평균 12억4천707만 원에 이르렀습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전인 2017년 4월만 하더라도 아파트 매매 5분위 배율은 4.7 수준이었지만, 5년간 배율이 2배 이상으로 상승하며 양극화가 심화된 것입니다.

지난달 전남 고흥군 뉴코아아파트(전용면적 22.68㎡ 단일) 5채가 각각 1천350만 원에 직거래 방식으로 팔렸습니다.

반면 서울에서는 지난달 성동구 성수동1가 갤러리아포레 전용 241.93㎡가 78억5천만 원, 강남구 청담동 효성빌라청담 전용 226.62㎡가 74억7천만 원에 각각 거래됐습니다.

같은 달 강남구 청담동 청담어퍼하우스(전용 200.38㎡·67억5천만 원)와 삼성동 아이파크(전용 195.388㎡·64억5천만 원),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전용 129.92㎡·64억 원), 성동구 성수동1가 아크로서울포레스트(전용 165.182㎡·62억 원)는 60억 원대에 매매 계약서를 체결했습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아파트값 양극화는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가격이 꾸준히 오르는 대형 '똘똘한 한 채'의 선호 현상과 무관치 않다"고 분석했습니다.

매매보다는 상승 폭이 작지만, 전국 아파트 전세 시장의 5분위 배율도 같은 기간 4.9에서 8.0으로 올랐습니다.

지난달 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 시장은 하위 20%의 아파트가 8천809만 원이었으나 상위 20%의 아파트는 7억116만 원으로 7억 원을 돌파하며 가격 격차가 벌어졌습니다.

아울러 작년 12월 말 기준 전국의 '연 소득 대비 주택구매가격 비율'(PIR: Price Income Ratio)은 소득과 주택가격이 전체에서 중간 수준인 3분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7.6으로 나타났습니다.

PIR은 주택 가격을 가구 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중산층이 7년 넘게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중간 가격 수준의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서울의 경우 이 수치가 2017년 말 11.5에서 작년 말 19.0으로 치솟으며 역대 최고치에 달했습니다.

박 교수는 "아파트값 양극화를 해결하고 서민들의 내 집 마련 시기를 앞당기려면 도심에 중소형 아파트 공급을 집중적으로 늘리는 수밖에 없다"며 "또 공급 확충을 위해서는 용적률 상한을 올리는 것 외에도 인허가 절차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을 모든 사업장으로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