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눈치만 본 5년.. 新남방정책 갱신해야 [특파원의 시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람(People)·평화(Peace)·상생번영(Prosperity). 다시 봐도 2017년 문재인 전 대통령이 천명한 신남방정책 기조는 옳다.
당연히 신남방정책이 적극 발동돼야 했지만 5년간 한국은 중국의 눈치만 보는, 전형적인 개발도상국 외교만 답습할 뿐이었다.
동남아 곳곳에서 "현장 외교관과 기업인의 개인기로 위기를 돌파하고 있지 신남방정책이 한 게 도대체 뭐냐"는 볼멘소리는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람(People)·평화(Peace)·상생번영(Prosperity). 다시 봐도 2017년 문재인 전 대통령이 천명한 신남방정책 기조는 옳다. 동남아시아를 수출 전진기지이자 관광 대상국으로만 바라보지 않는 3P 개념의 접근은 바람직했고, 동남아에 대한 집중도가 지금처럼 높지 않던 시기에 4강(强) 중심 외교를 넘어 독자노선을 견지한 추진력도 좋았다.
그러나 5년이 지난 현재, 신남방정책은 표류 중이다. 미국·중국·일본이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ㆍ아세안)과 전선을 수시로 바꾸며 남중국해를 두고 치열하게 외교전을 벌일 때 한국은 어디에도 없었다. 중동에서 한국으로 향하는 원유 수송선의 이동로인 남중국해는 우리 국익과도 밀접하다. 게다가 남중국해 문제는 사람과 평화가 모두 포함된 이슈가 아닌가. 당연히 신남방정책이 적극 발동돼야 했지만 5년간 한국은 중국의 눈치만 보는, 전형적인 개발도상국 외교만 답습할 뿐이었다.
코로나19 핑계는 댈 수 없다. 한국에만 국한된 위기도 아니었고, 같은 조건에서 미국 부통령과 일본 총리는 동남아를 연이어 순방하는 등 전략적 행보를 강화했다. 한국 정부는 동남아가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분산 거점으로 주목받을 때도, 요소수·석탄·팜유 등 자원외교의 변곡점이 왔을 때도 이곳을 찾지 않았다. 동남아 곳곳에서 "현장 외교관과 기업인의 개인기로 위기를 돌파하고 있지 신남방정책이 한 게 도대체 뭐냐"는 볼멘소리는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신남방정책은 어떤 식으로든 변형될 것이다. 윤 대통령의 외교 공약인 '한·아세안 ABCD 전략'으로 간판이 바뀔 수도, 인도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인도-태평양 다자 외교체 구성 방안이 전면에 나설 수도 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이름이 아닌 내실이다. 신정부가 기존 신남방정책을 실질화할 구체적 행동과 전략을 수정·보완하는지 여부가 핵심이란 얘기다. 아무리 좋은 정책도 실행되지 않으면 없느니만 못하다. 동남아를 버릴 게 아니라면 신정부는 반드시 이 부분을 짚어봐야 한다.
마닐라= 정재호 특파원 next88@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뜨거운 배웅받은 문 대통령 "다시 출마할까요?" 지지자들 "네!"
- 남에게 피해주기 싫어서? 마스크 계속 쓰는 심리적 이유
- "무례한 제목"…홍혜걸, '강수연은 왜 숨졌나' 영상 논란에 사과
- 6시에 주문한 치킨이 자정에… 어버이날 배달앱 대란
- "필요 이상 돈 쌓이는 것 부담스럽다" 익명의 50대, 카이스트에 300억 쾌척
- 윤 당선인, 차관 20명 인선… 여성은 한 명도 없었다
- 폭행 신고 요양시설 노인들, 종일 침상에 묶여 있었다
- "압수 안 했다고?" 조국까지 끼어든 딸 일기장 공방
- "조국의 강 건너지 않았나?" 한동훈, 민주당에 지지 않고 반격
- 문 대통령, 퇴임 연설서 "위대한 국민과 함께해 영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