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윤 취임 코앞 SLBM 발사..'핵투발 수단 다변화'에 속도

박성진 안보전문기자 2022. 5. 8. 21: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7일 함경남도 신포 해상서 1발
한·미 정상회담 앞두고 경고성
‘소형 핵탄두’ 7차 실험 임박설

북한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취임 사흘을 앞둔 지난 7일 함경남도 신포 인근 고래급 잠수함(북한은 ‘8·24영웅함’으로 명명)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1발을 발사했다. 군 당국이 포착한 SLBM 비행거리는 약 600㎞, 고도는 60여㎞다.

지난해 10월19일 첫 SLBM 발사 당시 ‘수중 발사 성공’을 과시했던 북한이 7개월 만에 다시 SLBM을 발사한 것은 군사적·정치적 의도 등 다목적 포석 차원이다. SLBM이 기습 공격용 무기체계라는 점에서 ‘선제공격’ 능력 강화를 예고한 윤석열 정부를 향한 경고성 무력시위라는 해석이 먼저 나온다. 또 오는 21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등을 겨냥한 대남·대미 압박 차원이란 성격도 있다.

이번 SLBM 발사는 지난달 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선제 핵공격 가능성 시사 이후 북한이 핵투발 수단 다변화에 속도를 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SLBM은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탄도미사일을 수중 발사용으로 개량한 것이다. 미사일이 종말 단계에서 ‘풀업’(하강 단계에서 상승) 기동을 할 경우 패트리엇(PAC-3) 요격 미사일 등으로 대응이 쉽지 않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도 레이더 시야(120도) 밖인 한반도 동남방 해상에서 날아오면 속수무책이다.

핵탄두 소형화는 북한이 10년 넘게 심혈을 기울인 ‘게임체인저’이다. 북한이 소형 전술 핵탄두 실험까지 성공하면 남한과 미국을 겨냥한 북한의 모든 무기 플랫폼은 핵투발 수단으로 진화하게 된다. KN-23과 함께 ‘대남 타격 3종 무기’로 불리는 북한판 에이태큼스(KN-24), 초대형 방사포(KN-25)에도 전술핵무기가 탑재될 수 있다. 다탄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실전 배치도 가능해진다. 핵·미사일 위협이 비약적으로 커지게 되는 것이다. 북한은 우선적으로 지난달 16일 시험발사한 신형 단거리탄도미사일(SRBM)과 이번 소형 SLBM에 전술핵 탑재를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이 7차 소형 핵탄두 실험을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에서 실시할 것으로 한·미 정보당국은 예측하고 있다.

북, SLBM 1발 발사
또 보도 않고 ‘침묵’

북한은 이미 400~500㎏ 무게의 수kt(킬로톤·1kt은 TNT 1000t의 폭발력)급 경량 핵탄두 제작을 마무리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정보당국이 파악한 소형 핵탄두의 직경은 60㎝ 미만 수준으로 전해졌다.

당분간 북한의 전략적 무력시위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보당국은 윤석열 정부 출범(10일) 직후나 한·미 정상회담(21일)에 맞춰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이 핵실험과 연속적인 미사일 시험발사를 통해 핵과 미사일 능력을 더욱 고도화하게 되면 핵이 없는 남한은 미국의 확장억제에 더욱 의존하게 될 수밖에 없게 된다.

북한의 관영매체들은 SLBM 발사 다음날인 8일 관련 보도를 하지 않았다. 매체들은 북한이 지난 4일 발사한 ICBM 추정 미사일에 대해서도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이를 두고 북한의 전략적 모호성, 중국의 압력설 등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다.

박성진 안보전문기자 longriver@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