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택 중산층 세부담 완화 명분.. 꺼지지 않은 불씨 '조세 형평' 논란

김노향 기자 2022. 5. 8. 07: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 원점으로 회귀한 '공시가격 현실화' (2) - 고가주택일수록 세부담 '반쪽만'

[편집자주]'주택가격 공시제도'가 2005년 시행된 지 15년 만인 2020년 대대적인 수술대에 올랐다가 2년 만에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됐다. 각종 세금과 부담금의 부과 기준이 되는 '부동산 공시가격'은 그동안 시세 대비 현저하게 낮아, 조세 형평의 오류가 발생한다는 논란이 지속됐다. 특히 공시가격 산정이 복잡다단한 고가 단독주택이나 펜트하우스 등일 경우 시세반영률이 평균보다 낮은 50%대여서, 예를 들어 100억원짜리 집에 대한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는 반쪽인 50억원만 대상으로 부과된다는 것이었다. 이를 정상화한다는 게 현 정부의 '공시가격 로드맵' 취지였다. 핵심 내용은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최종 90%까지 올리겠다는 것이다. 새 정부는 이를 다시 원점으로 돌려 세금 부담의 고통을 줄여주겠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일부 1주택자 서민·중산층이 정부의 공시가격 정책과 부동산 가격 상승의 이중 효과로 급격한 세부담을 져야 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다만 전문가들 중에는 고가주택과 일반주택,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등 가격별·유형별 차이에 따른 조세 형평의 정상화 과정조차 무시해선 안된다고 우려하고 있다.

최근 2년 동안 아파트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은 단독주택의 2~3배 수준에 달했다. 공동주택의 경우 2005년 공시제도가 도입된 이래 가장 가파른 상승률이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기사 게재 순서
(1) 다시 수술대 오른 '공시가격 정상화'… 새정부, 집값 올라도 '세부담' 낮춘다
(2) 1주택 중산층 세부담 완화 명분… 꺼지지 않은 불씨 '조세 형평' 논란
(3) 고가 단독주택·펜트하우스 등 오히려 세부담 약화… 보유세 통합, 대안될까


#. 2019년 서울 성동구 성수동 주상복합 '갤러리아포레'는 소위 '공시가격 오류 사태'를 겪었다. 아파트 2개동 230가구 전체의 공시가격이 한 번에 정정되는 일이 벌어진 것. 당시 갤러리아포레의 층과 방향에 따른 공시가격이 전년도와 달리 들쭉날쭉하게 산정되자 주민들의 항의로 재조사가 이뤄졌다. 이는 정부가 공인하고 각종 부동산 세금의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에 대한 객관성·신뢰성을 떨어뜨린 사건으로 기록됐다. 이 일을 계기로 주택 공시가격 조사·산정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부동산원은 감정평가사 등 전문인력의 확충과 과학적 조사기법 도입, 심사 검증 강화 등을 통해 공시가격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 올해 표준 단독주택 24만가구 가운데 공시가격이 가장 비싼 집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소재한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집으로 조사됐다. 해당 주택의 올 1월 1일 기준 공시가격은 311억원. 지난해(295억3000만원) 대비 5.32% 올랐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은 전국 7.36%, 서울 10.56%다. 초고가 단독주택의 공시가격 상승률이 서울은 물론 전국 평균보다 낮았던 셈이다. 만약 이 회장 명의의 다른 부동산 자산이 없다고 가정할 때 세액공제를 반영하지 않은 해당 주택의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는 약 9억2300만원이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은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이 규정한 '적정가격' 대비 낮은 공시가격의 관행을 벗어나 조세 형평을 제고한다는 취지의 방안이었다. 공시제도 공정성의 핵심으로 지목된 부동산 유형 간 '가격 균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도 담겼다. 공동주택으로 분류되는 아파트·다세대주택(빌라), 단독주택, 토지 등 부동산 유형별로 현실화율(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 차이가 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토지 2028년, 공동주택 2030년, 단독주택 2035년까지 8~15년에 걸쳐 최종 현실화율을 90%로 올리는 목표를 세웠다.

새 정부가 추진하는 공시가격 로드맵의 개편 방향은 이 공시가격 목표율을 80%로 낮추고 목표 시점을 더 늦추는 방안이 거론된다. 대책이 발표된 2020년 당시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보면 50~70% 수준인데, 특히 가격 산정이 어려운 단독주택의 경우 공산품같이 가격이 일률화된 아파트와 비교해 지나치게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당초 공시가격 정상화의 취지가 조세 형평이란 점을 고려할 때 1주택자 서민·중산층이 부동산 시세 상승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세부담이 증가한 것을 완화해주자는 목적과 다르게 공시가격 정상화 자체에 제동이 걸려선 안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 단독주택의 '3배'


문재인 정부의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이 처음 적용된 2021년 부동산 유형별 공시가격은 단독주택(표준) 6.68%, 공동주택 19.05% 상승했다. 공시가격 상승은 팬데믹(세계적 전염병 대유행) 사태와 경기침체 우려 속에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저금리를 유지하며 부동산가격이 급등한 영향이지만 정부의 공시가격 현실화 정책까지 맞물려 부동산 세금 상승이 더욱 체감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올해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공시가격 역시 각각 7.34%, 17.20% 상승했다.

2년에 걸쳐 아파트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이 단독주택의 2~3배 수준에 달했다. 공동주택의 경우 2005년 공시제도가 도입된 이래 가장 가파른 상승률이었다. 국토교통부가 올 4월 29일 공시한 2022년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토지(표준지) 71.6%, 단독주택(표준) 57.9%, 공동주택 71.5%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는 각각 68.6%, 55.9%, 70.2% 수준으로 전체적으로 1~3%포인트 안팎 올랐지만 현실화율이 가장 낮은 단독주택의 경우 여전히 절반 수준인 50%대에 머물렀다.

이재순 호서대 벤처대학원 벤처경영학과 교수는 "문재인 정부 당시의 공시가격 로드맵에선 부동산 유형별·가격별 현실화율의 격차가 큰 문제점을 보완하는 차등화 방안이 있었다"며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의 균형성·형평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고가 구간의 현실화를 더 빨리 달성하는 방안이 새 정부에서도 실행돼야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는 고가 단독주택일 경우 시세를 산정하는 것이 여전히 어려운 만큼 공시가격 산정 과정의 오류를 줄이는 방법도 논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머니S 주요뉴스]
이다혜 치어리더 차량에 떼로 '우르르'… "팬 아닌 스토커"
'3시간 골든타임' 놓친 강수연…뇌출혈 의심 증상은?
"말라도 너무 말랐어"… GD 팬들 걱정 '한가득'
'강타♥' 정유미, 레깅스 입고 한라산 등반 인증
기안84 "팬티만 입고 수영이 목표" 발언에… 전현무 "난 끈팬티"
"더러운 게이XX"… 홀랜드, 이태원서 폭행당해
[★화보] 효민, 에너지 넘치는 싱그러운 여름 필드룩
"이미 결혼 했는데"… 배슬기, 전남친에게 꽃 선물을?
22세 조나단, 43세 연상 노사연에… "누나 같은 분이 이상형"
'샤넬 앰버서더' 지드래곤, 진주 목걸이 하고 카리스마 발산

김노향 기자 merry@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