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한일 용기·지혜·인내 모아야 해결' 분명히 얘기"(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파견한 한일 정책협의단 대표인 정진석 국회 부의장은 일제강점기 피해자들이 제기한 소송 문제의 해법을 한국이 혼자 내놓을 수는 없다는 인식을 일본에 충분히 전했다고 28일 밝혔다.
강제노역 피해자들이 제기한 소송의 결과에 따라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산 강제매각(현금화) 절차가 진행 중인 것과 관련해 일본 측이 대표단에 여러 번 문제를 제기했으며 이에 대해 정 부의장은 "지금의 한일 관계가 더는 악화하는 것을 그대로 방치하고 있지는 않겠다는 답변으로 대신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금화 않겠다' 표현한 적 없다..비자면제·격리완화 협의 가속"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파견한 한일 정책협의단 대표인 정진석 국회 부의장은 일제강점기 피해자들이 제기한 소송 문제의 해법을 한국이 혼자 내놓을 수는 없다는 인식을 일본에 충분히 전했다고 28일 밝혔다.
그간 일본 측의 태도는 한국이 해법을 제시하라는 것이었다.
정 부의장은 이날 오전 도쿄의 한 호텔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한 손바닥으로 소리 낼 수 없는 문제다. 한일 양측이 용기·지혜·인내를 모아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얘기했다"고 말했다.
정 부의장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양국 공식 합의인 점을 인정하고 그런 관점을 부인하지 않는다. 동시에 피해자의 명예를 회복하고 마음의 상처를 치유한다는 기본 정신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아픈 상처에서 비롯된 문제 아니냐"는 취지로 일본 측에 강조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강제노역 피해자들이 제기한 소송의 결과에 따라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산 강제매각(현금화) 절차가 진행 중인 것과 관련해 일본 측이 대표단에 여러 번 문제를 제기했으며 이에 대해 정 부의장은 "지금의 한일 관계가 더는 악화하는 것을 그대로 방치하고 있지는 않겠다는 답변으로 대신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현금화하지 않겠다는 표현을 쓴 적이 없다"고 단언했다.
도쿄신문은 대표단이 자민당 의원과의 면담에서 '징용 문제에서 일본 자산의 현금화는 시키지 않겠다'는 강한 의향을 전했다고 익명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28일 보도했다.
정 부의장은 이번 방문을 통해 "과거사를 부정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고 동시에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역사 문제와 한일 관계 미래에 대한 논의 전반을 요약했다.
아울러 "대북 공조 포함해서 지역 안정을 위한 한일 및 한미일 차원의 전략적 공조도 한층 더 강화해 나가자는 데 의견 일치를 이뤘다"고 덧붙였다.
정 부의장은 "최근 북한의 잇따른 도발이나 우크라이나 사태, 미국과 중국의 대결 구도 심화 등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특히 한미일 간의 전략적 협력이 절실하다는 점에 대해서 많은 의견이 오고 갔다"고 부연했다. 한일 갈등 현안의 포괄적 해결을 추구한다는 윤 당선인의 공약에 대해서는 "포괄적 해결이라는 것이 꼭 '패키지 딜'과 등식화할 수는 없는 개념이라고 이해한다"며 "쉬운 문제를 먼저 풀고 그다음에 어려운 문제 푸는 순으로 해야 하지 않겠냐는 말씀을 (면담한 일본 인사들에게) 드렸다"고 언급했다.
양국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주제로는 민간 교류 확대가 꼽혔다.
정 부의장은 "대표단은 양국 간의 왕래가 조속히 회복되어야 한다는 분명한 공감대를 마련했다. 김포-하네다 노선을 재개하고, 사증(비자) 면제 복원과 격리 면제 확대 등을 위한 제도적 정비 및 당국 협의를 조속히 가속하자고 의견 접근을 이뤘다"고 소개했다.
그는 특히 "사증 면제 복원과 시설 격리 면제는 외교 당국 간에 협의하면 머지않은 장래에 타결될 수 있는 문제"라고 기대감을 표명했다.
정 부의장은 기억에 남는 대화를 묻자 아베 신조 전 총리와 30분 이상 만났다면서 그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안부를 물었다고 밝혔다.
정 부의장은 "대표단이 기시다 총리 면담에서 취임식 초청을 했다는 식으로 (박주선 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 위원장이) 말했는데 조금 잘못 얘기한 것 같다. 취임식 얘기는 언급된 바 없다"고 했다.
지난 24일 일본을 방문한 대표단은 26일 기시다 총리를 만나 윤 당선인의 친서를 전했다.
대표단은 이날 오후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한국으로 출발한다.
sewonle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영상] 면허 이틀 만에…정동원, 동부간선도로서 오토바이 몰다 적발 | 연합뉴스
- 어린이대공원 얼룩말 탈출 소동…주택가 골목서 포획(종합) | 연합뉴스
- "신체사진 보내라" 롯데 서준원, 미성년 성범죄 혐의 기소
- 美 죄수 2명 칫솔로 벽 허물고 탈옥…옆동네 팬케이크집서 잡혀
- 자동차 부동액 몰래 먹여 엄마 살해…30대 딸 징역 25년
- 유아인 측 "사실상 공개소환" 반발…내일 조사 불투명
- 한국서 6년 막노동 필리핀 근로자, 고국서 부시장 '탈바꿈'
- 차에 받힌 학생 그냥 가자 조치없이 떠난 교사…'도주치상' 입건
- 北식량난에도…김주애는 240만원 명품 외투?
- '우산 속에서' 지적장애 친딸 강제 추행한 50대 아버지 법정구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