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부터 저소득 청년 대상으로 월 최대 20만원씩 월세 지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저소득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오는 8월부터 1년간 월세 최대 2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한다.
국토교통부는 21일 국무조정실, 보건복지부와 '시·도 청년정책 책임관 협의회'를 열고 각 지방자치단체에 이 같은 내용의 청년 월세 지원 사업 시행 방안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이런 기준을 모두 갖춰 월세 지원 대상이 되는 청년은 약 15만2천명이 될 것으로 국토부는 추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위소득 60% 이하 청년 대상
1년간 매달 최대 20만원 월세 지원
정부가 저소득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오는 8월부터 1년간 월세 최대 2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한다.
국토교통부는 21일 국무조정실, 보건복지부와 ‘시·도 청년정책 책임관 협의회’를 열고 각 지방자치단체에 이 같은 내용의 청년 월세 지원 사업 시행 방안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청년 월세 지원은 지난해 8월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협의를 거쳐 발표한 ‘청년지원 특별대책’에 따라 올해 예산에 반영됐다.
지원 대상은 부모와 떨어져 별도로 거주하는 만 19~34살 무주택 청년이다. 보증금 5천만원 이하, 월세 60만원 이하인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최대 20만원의 월세를 지원한다.
다만 월세가 60만원을 초과하더라도 보증금의 월세 환산액(환산율 2.5%)과 월세액의 합계액이 70만원 이하인 경우라면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청년 본인이 속한 가구는 중위소득 60% 이하, 재산가액 1억700만원 이하 조건을 갖춰야 하며 부모 등 원가족 역시 중위소득 100% 이하, 재산가액 3억8천만원 이하여야 지원 대상이 된다. 올해 기준으로 중위소득 60%는 1인 가구의 경우 116만6887원, 2인 가구는 195만6051원, 3인 가구는 251만6821원이다.
국토부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독립가구 인정 범위를 준용해 30살 이상이거나 혼인 등으로 부모와 생계를 달리하는 청년의 경우는 청년 본인 가구의 소득·재산만 확인하기로 했다. 이런 기준을 모두 갖춰 월세 지원 대상이 되는 청년은 약 15만2천명이 될 것으로 국토부는 추산했다. 자격요건을 갖춘 청년 가구에는 실제 납부하는 임대료 범위 내에서 월 최대 20만원씩 최장 12개월 동안 지급한다.
다만, 지자체의 기존 월세 지원사업, 행복주택 입주 등을 통해 주거비 경감 혜택을 이미 받은 경우 등은 지원대상에 제외된다.
월세 지원 신청은 8월 하순부터 1년 동안 수시로 받는다. 정부는 신청자에 대한 소득·재산 등의 심사를 거쳐 11월부터 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8월에 신청한 경우라면 11월에 4개월 치(8~11월분)를 소급해 지급한다.
신청은 복지로 누리집(www.bokjiro.go.kr)이나 애플리케이션으로 하면 된다. 시·군·구청이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찾아 직접 신청해도 된다. 정부는 다음 달 2일부터 마이홈 포털과 복지로,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모의 계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미안합니다” 엎드린 박경석… “괜찮아요” 답한 시민들
- 탁현민 “청와대 ‘유퀴즈’ 출연 요청 없었다?…CJ 거짓말 심각”
- “1일1닭 할 수 있겠네!” 황대헌·최민정, ‘치킨 연금’ 받는다
- 10년 넘게 진행중인 가습기살균제 사건…영화 속 결말은?
- [ESC] 이효리가 낳고 코로나가 키운 ‘스몰 럭셔리’
- 박홍근, ‘꼼수 안건조정위’에 “검찰 수사권, 밤새워 심사해달라”
- 깃털이 새에게만 있을까? ‘날아다니는 파충류’서도 확인
- ‘강철부대’ UDT 출신 체육관 코치에 흉기 휘두른 30대 검거
- [속보] 확진자 9만867명…9주 만에 목요일 10만명 아래로
- 한류·한식 인기 업고… CU, 몽골 편의점 ‘싹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