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가격' 금리..올리면 정말 물가·집값이 잡힐까
물건을 살 때 돈을 내듯이
돈 빌린 데 대한 대가=금리
금리 오르면 '빚투' 줄어들어
집값·주가 하락 요인 되지만
경기 좋아지면 되레 상승도
금리 혹은 이자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됐다. 기원전 4000년경 수메르 문명에 이미 이자에 대한 개념이 있었다. 기원전 18세기 고대 바빌로니아의 함무라비 법전에도 곡물과 은을 빌려줄 때 얼마의 이자를 받으라는 내용이 있었다. 성경에도 이자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경기를 살릴까, 물가를 잡을까
금리는 돈을 빌린 데 대한 대가다. 물건을 살 때 돈을 내듯이 돈을 빌려 쓸 때도 일정한 값을 치른다. 물건에 가격이 있는 것처럼 돈에는 금리가 있다. 즉 금리는 ‘돈의 가격’이다. 돈을 빌려주는 사람 입장에서 보면 금리는 돈을 쓸 기회를 포기한 대가이자 돈을 떼일 위험을 감수한 대가다.
돈의 가격인 금리 역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금리는 올라간다. 반대로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아지면 금리는 내려간다.
금리를 조정해 돈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기도 한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를 통해서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린다는 것은 돈의 가격을 올리겠다는 것이다. 금리가 오르면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줄어든다. 가계 소비와 기업 투자가 감소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한은이 최근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는 것은 경기가 다소 냉각되는 것을 감수하고라도 물가를 잡기 위한 목적이 크다. 금리를 내리면 반대 효과가 나타난다. 돈을 빌리기 쉽게 만들어 소비와 투자를 자극할 필요가 있을 때 한은은 기준금리를 내린다.
기준금리·국채 금리·마이너스 금리
기준금리는 한은이 시중은행들과 만기 7일짜리 환매조건부채권(RP)을 매매할 때 기준으로 삼는 금리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이것을 조정함으로써 은행의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를 비롯한 시장 금리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대개 연 0.25%포인트씩 인상·인하하지만 한 번에 많이 건드리는 ‘빅스텝’을 취하기도 한다.
국채 금리는 ‘국가의 채권’, 즉 정부가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금리다. 국채 금리가 오른다는 것은 해당 국가에 안 좋은 신호다. 금리를 높여줘야 돈을 빌릴 수 있다는, 혹은 돈을 빌려주려는 사람이 적다는 뜻도 된다. 자본시장에서 국가 신용도가 낮아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회사채 금리는 기업이 돈을 빌릴 때의 금리다. 회사채 금리는 해당 기업의 재무 상황을 반영한다. 도산하는 기업을 보면 흔히 회사채 금리가 점점 높아지다가 급기야 빚을 갚지 못하는 지경에 이른다. 개별 기업의 재무 상황과 별도로 경기 상황에 따라 회사채 금리가 오르내리기도 한다.
최근 장단기 금리 역전에 대한 얘기가 많이 나온다. 일반적으로 미래의 불확실성을 감수해야 하는 장기 금리는 단기 금리보다 높다. 단기 금리는 중앙은행 통화정책의 영향을 직접 받지만, 장기 금리는 향후 경기와 물가에 관한 전망을 반영한다.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예상하면 안전자산인 장기채로 수요가 몰리며 채권값이 오르고 금리는 떨어진다. 장단기 금리 격차가 줄어드는 것이다. 장단기 금리 역전은 경기 둔화 신호로 해석된다.
인류가 처음 경험한 마이너스 금리도 있다. 돈을 미래에 사용하겠다(시간선호)고 저축하면 이자를 못 받고 오히려 손해를 본다는 뜻이다. 경기를 살리기 위해 세계 여러 국가가 마이너스 금리를 정책적으로 썼다.
금리 오르면 집값 하락?
금리와 집값, 주가 등 자산 가격 사이의 관계도 관심사다. 금리가 오르면 대출을 받아 부동산이나 주식에 투자하기가 부담스러워진다. 따라서 금리 상승은 집값과 주가 하락 요인으로 해석된다. 반대로 금리 하락은 빚투(빚내서 투자)의 부담을 줄여서 부동산과 주식 투자를 부른다.
하지만 실제 금리와 자산 가격의 관계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금리가 오른다는 것은 경기가 좋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금리 상승기에 집값과 주가가 오르기도 한다. 반면 금리가 내릴 때는 보통 경기가 좋지 않을 때다. 금리 하락기에 집값과 주가가 함께 내려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는 2004년 11월 연 3.25%에서 2008년 8월 연 5.25%까지 올랐지만 국내 집값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등했다. 2008년 가을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아 기준금리를 급격히 내리던 시기에 상승세가 꺾였다. 경제와 마찬가지로 금리도 예측하기 어려운 요인에 따라 변하는 복잡계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이 많을수록…"화이자 맞은 사람은 꼭 확인하세요"
- 김동연 "내게도 연봉 20억원에 백지수표 제안…전관예우 없애자"
- 하락장서 15% 수익이라니…'역주행 3인방' 뭘 담았나
- 운동 안 하고 22kg 감량도…살 쭉쭉 빠지는 식단 [건강!톡]
- "중국은 너무 위험"…'늦기 전에' 손 떼는 전세계 큰손들
- [종합] 강남, '♥이상화' 어마어마한 수입 언급→"신혼은 예전에 끝" ('라디오쇼')
- 아이돌인 줄 알았는데 '반전'…필드 위 여신 누구?
- 김선호, 팬들과 취재진 뚫고 입국…사생활 논란 6개월 만
- 구준엽♥서희원, 결혼 후 첫 '투샷'…나란히 포착된 곳은?
- "늦어지기 전에"…CL, 투애니원 재결합도 직접 해내는 '천생 리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