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특별여행주의보' 2년 만에 해제.. 중국·러시아는 '유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14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하면서 전 국가에 발령했던 '특별여행주의보'를 2년여 만에 해제한다.
외교부는 13일 "정부의 방역정책 기조와 전 세계 코로나19 동향 등을 감안해 전 국가를 대상으로 발령해온 특별여행주의보를 해제하고 14일부터 국가별 여행경보 발령체제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14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하면서 전 국가에 발령했던 ‘특별여행주의보’를 2년여 만에 해제한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산세가 잦아든 데 따른 조치다. 다만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26개국은 기존 특별여행주의보를 유지한다.
외교부는 13일 “정부의 방역정책 기조와 전 세계 코로나19 동향 등을 감안해 전 국가를 대상으로 발령해온 특별여행주의보를 해제하고 14일부터 국가별 여행경보 발령체제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싱가포르와 캐나다, 호주, 네덜란드 등 22개국과 괌, 사이판 지역은 여행경보 1단계(여행 유의)로, 미국(괌ㆍ사이판 제외)과 영국, 독일, 프랑스 등 129개국은 여행경보 2단계(여행 자제)로 하향 조정된다.
그러나 중국, 러시아 등 26개국은 특별여행주의보(여행경보 2, 3단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중국의 경우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된 상하이와 지린성 등에 단행된 봉쇄 조치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전시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여행 경보는 1~4단계로 나뉘는데, 3단계는 여행 취소 및 연기, 4단계는 여행 금지 조치가 각각 내려진다. 외교부는 “특별여행주의보는 2단계 이상 3단계 이하에 준하는 효과”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이 시작된 2020년 3월 23일 특별여행주의보를 처음 발령했으며 한 달 단위로 계속 연장해왔다. 외교부는 이번 조치에 앞서 △백신 접종률을 포함한 코로나19 동향 △백신접종 증명서 상호 인정 여부 △여행안전권역(트래블버블) 협의 추이 △단기방문 외국인 입국 제한 조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정승임 기자 choni@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석열 "한동훈, 파격 인사 아냐... 영어도 유창"
- 조국 "내 딸만 입학취소…'아빠찬스' 의사는 왜 방치하나”
- 한동훈 "이정도 나이·경력에 장관직 수행 못할 이유 없다"
- [단독] 정호영 후보자 병원 실세일 때 경북대 의대 편입학한 두 자녀
- "박근혜 명예회복" 말한 윤석열, 왜 대구에서 몸을 낮췄나
- 임창정 첫째 아들 "아버지 재혼, 솔직히 싫었다" 고백 ('동상이몽2')
- '윤석열 정부 보복수사 걱정'이 죽어가던 검수완박 살려냈다
- "내가 시장 모르겠습니까"...떠나는 홍남기 작심발언
- 이준석 "필리버스터 나라면 100시간…검수완박, 기획된 쇼"
- 김오수 총장 "필사즉생 각오로 국회, 대통령, 헌법재판소까지 호소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