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일부터 '특별여행주의보' 해제..코로나19 이후 2년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전세계에 발령했던 특별여행주의보를 2년여 만에 해제하기로 했습니다.
외교부는 "정부의 방역 정책 기조와 전 세계 코로나19 동향 등을 감안해 특별여행주의보를 해제하고, 내일(14일)부터 기존의 국가별 여행경보 체제로 전환한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는 특별여행주의보 해제와 별도로, 국가별, 지역별로 급격하게 방역 상황이 변동하는 곳에 대해서는 수시로 여행경보 단계를 조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전세계에 발령했던 특별여행주의보를 2년여 만에 해제하기로 했습니다.
외교부는 “정부의 방역 정책 기조와 전 세계 코로나19 동향 등을 감안해 특별여행주의보를 해제하고, 내일(14일)부터 기존의 국가별 여행경보 체제로 전환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싱가포르와 캐나다, 호주, 네덜란드 등 22개국과 괌, 사이판 지역은 여행경보 1단계(여행 유의)로, 영국·독일·프랑스 등 129개국은 여행경보 2단계(여행 자제)로 하향 조정됩니다.
중국과 러시아 등 26개국은 특별여행주의보가 유지되며, 기존에 미얀마 등에 내려진 여행경보 3단계(출국 권고)와 우크라이나 등에 발령된 여행경보 4단계(여행 금지)는 유지됩니다.
특별여행주의보는 여행경보 3단계(출국 권고)보다는 낮지만, 2단계(여행 자제)보다는 강화된 여행경보입니다.
정부는 2020년 3월 23일 전세계 모든 나라와 지역에 대해 특별여행주의보를 처음 발령했으며 한 달 단위로 이를 계속 연장해왔습니다.
외교부는 특별여행주의보 해제와 별도로, 국가별, 지역별로 급격하게 방역 상황이 변동하는 곳에 대해서는 수시로 여행경보 단계를 조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국가별 여행경보 조정 내역과 최신 안전정보 등은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www.0404.go.kr)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중근 기자 (news24@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美 링컨 항모, 동해 공해상서 일본과 합동 훈련 영상 공개
- 김현미-원희룡…독배 받아든 정치인 출신 부동산 수장
- 홍남기 부총리 “부동산 하락 흐름…일부 불안심리 재확산”
- “민간인 시신 403구 발견”…푸틴 “가짜 뉴스”
- “영상 올려 돈 벌어볼려고”…사제 폭발물 주택가에서 ‘펑’
- [테크톡] 어쩌다 7000억 털렸을까…NFT 1위 게임의 민낯
- 70년 후엔 국산 사과·배 못 먹을지도
-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채석장 붕괴’ 추적해보니
- 상하이 이어 광저우까지 봉쇄?…비상 체제 돌입, 세계 경제 빨간불
- 1,000명 중 3명 ‘재감염’…“같은 변이 재감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