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금융, 큰 글씨로 간편하게..UX·UI 전면 개편
◆ 디지털금융 ◆
우선 JB금융은 그룹 사용자 경험(UX)·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전면 개편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전형적인 은행 모바일뱅킹 앱에서 탈피해 철저하게 '고객 중심 경험 개선'을 위한 UX와 UI로 탈바꿈하면서 개편을 완료했다.
전북은행의 새로운 개인뱅킹 'JB뱅크'는 편리하고 안전한 인증 서비스와 사용자 중심 맞춤화 서비스, 큰 글씨 서비스 등을 제공해 고객 편의성을 확대한다. 또 전북은행만의 차별화된 인증 서비스인 'JB모바일 인증서'도 도입해 간편 비밀번호 6자리와 패턴과 바이오를 결합한 뒤 사용 가능하도록 했다. 새롭게 개편된 JB뱅크의 메인 화면에서는 고객 대표 계좌와 카드 잔액, 결제대금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반복적으로 여러 이체를 원하는 고객은 '다건 이체'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채널별 상품 가입 절차를 통합하는 등 기존 이용 고객 니즈를 반영해 비대면 서비스 커버리지도 넓혔다.
JB금융의 또 다른 계열사인 광주은행은 '기업스마트뱅킹'을 전면 개편했다. 광주은행 기업스마트뱅킹에서 새로 도입한 '모바일 승인·결재 서비스'를 통해 기업 실무진은 인터넷 뱅킹에서 결재를 요청하면 결재권자가 모바일에서 내용을 확인하고 결재할 수 있다. 또 '기업금융현황' 메뉴에서는 기업의 은행거래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예금·대출·카드 이용 현황을 통해 과거 변동 추이도 확인할 수 있다.
JB금융은 또 빅테크·핀테크와 협업 체계를 구축해 JB그룹 자체 디지털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광주은행은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인공지능 산업 육성을 위해 협업하기로 했다. 또 토스와 디지털 금융·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도 맺은 상태다. 전북은행은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데이터·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함께 연구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뱅크, 한국신용데이터 등과도 협업을 통해 디지털 금융 서비스 등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JB금융그룹은 국내 금융그룹 최초로 통합 빅데이터 플랫폼도 오픈했다. 클라우드 기술에 기반한 '데이터 허브'에서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메타버스와 관련한 사업 영역도 확장한다.
[김유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대한건설협회, 친환경 건설기술 개발·사업장 안전대책 지원 팔 걷어
- [다시 뛰는 K건설] 건설 르네상스 재도전…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
- 금성백조, 고위험작업 사전허가제…중대재해 막는다
- 쌍용건설, 국내선 아파트 늘리고…해외선 대형병원·공항 수주 총력
- 호반건설, 공사현장 가상으로 구현…사고 예측한다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