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구도심 '착한 가게'.."지역의 버팀목"

JTV 하원호 2022. 3. 22. 17: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군산은 지역 경제의 버팀목이 됐던 기업들이 잇따라 문을 닫으면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군산 구도심의 한 동네에서 어려운 이웃을 돕는 소액 기부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지역사회의 새로운 버팀목이 되고 있습니다.

[이정래/군산시 흥남동주민센터 맞춤형복지계장 : 착한가게 사업이 만들어지면서 입소문이 나서 착한 가게가 많이 늘어났거든요. 이 이익금으로 인해서 사업을 확대할 수 있었고.]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군산은 지역 경제의 버팀목이 됐던 기업들이 잇따라 문을 닫으면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군산 구도심의 한 동네에서 어려운 이웃을 돕는 소액 기부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지역사회의 새로운 버팀목이 되고 있습니다.

하원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키 작은 건물들이 늘어선 옛 동네, 흥남동은 군산의 대표적인 구도심입니다.

이른 아침부터 흥남동 주민센터가 분주합니다.

파릇파릇한 시금치를 무치고, 갖은양념으로 맛을 낸 돼지 불고기도 알맞게 익어갑니다.

매월 한 차례, 홀로 사는 어르신들에게 전달할 밑반찬을 만드는 날.

올해로 22년째 이어지고 있는 봉사활동입니다.

[신은자/군산시 흥남동 '흥봉이 봉사단' : 어르신들을 위해서 조금이나마 할 수 있다는 게 감사하고, 또 어르신들이 이 반찬을 받으시면서 기뻐하시고 고마워하시니까, 저희들은 기쁜 마음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런 봉사활동이 더 활발해진 건, 평범한 이웃들이 보탠 기부금 덕분입니다.

오래된 이 방앗간도, 5년 전부터 매월 3만 원을 후원하고 있습니다.

[김광순/방앗간 주인 : 군산 시민들이 오시잖아요. 저희 가게에. 그분들 덕택으로 제가 아이들을 교육도 시키고, 제가 생활을 하니까, 거기에 조금 보답하는 마음으로….]

지금은 흥남동에 이런 착한가게가 32곳으로 늘었습니다.

주민센터는 명예의 전당을 만들어 착한가게의 이름을 동사무소 한 켠에 새겼습니다.

착한가게는 민들레 홀씨처럼 동네 곳곳으로 퍼져 새로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이정래/군산시 흥남동주민센터 맞춤형복지계장 : 착한가게 사업이 만들어지면서 입소문이 나서 착한 가게가 많이 늘어났거든요. 이 이익금으로 인해서 사업을 확대할 수 있었고….]

지역경제의 버팀목이 됐던 기업들이 잇따라 문을 닫으면서 침체에 빠졌던 군산.

나보다 이웃을 먼저 생각하는 주민들의 따뜻한 연대가 지역 사회의 새로운 버팀목이 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