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안보 공백" 제동에, 尹측 "5월10일 靑 개방" 배수진
국방부·합참 등 연쇄 이동 두고
"대내외적 안보위기 상황" 강조
"알박기 인사 등 이슈 덮으려해"
국민의힘, '판 키우기' 의도 의심
"새정부 방해는 대선 불복" 반발
尹 '졸속 추진·불통 프레임' 부담
"尹 정치력 시험대 올라" 분석도
'불쾌'한 반응 속 단호 대응 의지
이번주내 文·尹회동 성사 불투명
청와대는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관계장관회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대통령집무실 이전과 이로 인한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등의 연쇄 이동에 대해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며 시간이 촉박하다는 점과 대내외적 안보 위기 상황에서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 등을 표면적인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다는 해석이 고개를 든다. 한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세계일보와 통화에서 “청와대가 이 이슈(용산 이전)로 (회동 무산의 이유로 꼽힌) MB(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공공기관 ‘알박기 인사’ 등 정권 차원에서 부담이 되는 이슈들을 묻어버릴 수 있게 됐다”며 “여론전에서 불리하지 않으니 이걸로 ‘판을 키우겠다’는 정무적 판단이 있었던 것 같다”고 해석했다. 이 관계자는 “대선 이후 (더불어)민주당이 자중지란에 빠졌는데 용산 이전 문제로 민주당과 청와대가 빠르게 결집해 단일대오가 형성됐다”며 “이 부분은 우리의 패착”이라고 털어놨다.
대통령집무실의 용산 이전 문제로 윤 당선인의 정치력이 시험대에 오른 모양새다. 이미 인사권 등을 둘러싼 이견으로 문 대통령과의 회동이 한 차례 무산됐고, 이날까지 진전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당선 직후 ‘허니문’ 기간도 없이 난관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지난 대선에서 0.73%포인트 차로 신승한 윤 당선인이 정권 이양기 최대 쟁점으로 부상한 대통령집무실 이전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지 못할 경우 집권 초부터 거대 야당의 반대에 부딪혀 국정과제 수행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윤 당선인 입장에선 애초 ‘광화문 시대’를 공약해놓고 용산으로 집무실 이전 지역을 급하게 변경한 만큼 ‘졸속 추진’·‘불통’ 프레임에 갇히는 것도 부담이다.
결국 대통령집무실 용산 이전 문제의 실타래는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회동과 함께 맞물려 풀어야 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당초 이번주 내 윤 당선인과 문 대통령의 만남이 예상됐지만, 예비비 승인으로 갈등이 불거지면서 아무래도 이번 주는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언급했다.
김주영·이현미·이도형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자기야, 난 아파트에서 시작하고 싶어”… 30대, 결혼하려고 내집 마련? [뉴스+]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풉” 尹영상 보던 이재명, ‘웃참’ 실패…“1분 만에 거짓말 들통”
- “몸에 출산 흔적” 40대女 집 가보니…“요리에 쓰려고요” 초등생 살해한 교사 [금주의 사건사
- 김승수, 양정아에 차인 후 충격 근황…양다리 의혹 터졌다
- “네 아내 3번 임신시켜서 미안…벗겨봐서 알아” 전남친이 4년간 스토킹한 이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
- “성관계는 안했어” 안방 침대서 속옷만 걸친 채 낯선 남자와 잠자던 공무원 아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