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이 시원찮고 빚은 '잔뜩'..우울한 MZ세대

김익환 2022. 3. 15. 17: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경제의 주력 세대로 떠오른 MZ세대(밀레니얼+Z세대·1980~1995년생)의 소득·씀씀이 활동이 상대적으로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한국 경제의 간판 세대로 부상한 MZ세대 벌이가 상대적으로 시원찮다고 분석했다.

최영준 한은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MZ세대가 우리 경제의 주력 세대로 부상했지만 다른 세대와 비교해 경제 여건이 취약하다"며 "앞으로 한국 경제에 일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은 'MZ세대 현황' 보고서
전체인구의 절반 2435만명
근로소득 앞선세대의 1.4배인데
주택 영끌 매입에 빚은 4.3배
소비여력 부족..경제활력 저해

한국 경제의 주력 세대로 떠오른 MZ세대(밀레니얼+Z세대·1980~1995년생)의 소득·씀씀이 활동이 상대적으로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급등의 부작용으로 나타난 ‘영끌’, ‘패닉바잉’ 현상으로 이들의 빚은 크게 늘어났다. 지갑을 열지 않고 불어난 빚에 눌린 MZ세대가 한국 경제의 활력을 갉아먹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15일 이 같은 내용의 ‘MZ세대 현황과 특징’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은은 연령별로 베이비붐 세대(1955~1964년생)와 X세대(1965~1979년생), MZ세대로 구분해 분석했다. 2020년 MZ세대는 2435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X세대(1259만 명)와 베이비붐 세대(767만 명)를 규모 면에서 압도했다.

한은은 한국 경제의 간판 세대로 부상한 MZ세대 벌이가 상대적으로 시원찮다고 분석했다. MZ세대(2018년 기준 24∼39세·1980∼1995년생 결혼한 상용직 남성 가구주 기준)의 2018년 근로소득은 2000년 같은 연령대(24∼39세)의 1.4배로 집계됐다. X세대(40~54세)와 베이비붐 세대(55~64세)의 근로소득은 2000년 같은 연령대와 비교해 각각 1.5배, 1.6배 늘었다. 이들과 비교하면 MZ세대의 근로소득 증가폭이 크지 않다.

MZ세대의 2017년 기준 총소비는 2008년 같은 연령대의 총소비와 비교해 1.03배 수준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소득이 불어난 만큼 씀씀이가 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MZ세대가 짊어진 빚은 큰 폭으로 불었다. MZ세대의 2018년 기준 총부채는 2000년 같은 연령대에 비해 4.3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X세대(2.4배), 베이비붐 세대(1.8배) 증가폭을 넘어섰다. 한은은 MZ세대가 집값 마련을 위해 차입금 조달을 늘린 결과라고 평가했다.

MZ세대의 차입금 조달 흐름은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한은의 ‘금융안정상황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산출한 결과 작년 2분기 말 2030세대의 가계대출은 약 458조7000억원으로 작년 2분기에 비해 14.1%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가계대출 증가율(10.3%)을 크게 웃돈다. 불어난 가계대출만큼 신용위험도 커지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작년 2분기 2030 청년층 가운데 취약차주(다중채무자이면서 소득 하위 30% 또는 신용점수 664점 이하인 사람) 비중이 6.8%에 달해 다른 연령층(6.1%)을 웃돌았다.

최영준 한은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MZ세대가 우리 경제의 주력 세대로 부상했지만 다른 세대와 비교해 경제 여건이 취약하다”며 “앞으로 한국 경제에 일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MZ세대의 소득 증가·부채 감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이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