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짜깁기' 된 국가부채 기준..기재부에 이유 묻자

조기호 기자 2022. 2. 10. 20: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나라 살림살이를 매달 공식 문서로 공개하고 있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니 여기 중요한 수치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확인 결과, 기재부가 다른 나라 수치는 OECD 발표대로 쓰면서 우리나라 수치만 국제통화기금, IMF 자료로 바꿔 쓴 거였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나라 살림살이를 매달 공식 문서로 공개하고 있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니 여기 중요한 수치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국가부채 비율'을 나타내며 서로 다른 두 가지 기준을 뒤섞어 써온 게 SBS 취재로 확인된 건데, 자세한 내용 조기호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기획재정부가 펴내는 월간 재정동향입니다.

70여 쪽에 걸쳐서 수입과 지출, 재산 등 국가의 세세한 살림살이를 나라 안팎에 공개합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를 포함해 주요 나라 국가부채를 OECD 발표대로 정리한 표가 있습니다.

정확한지 따져봤습니다.

2020년 한국의 국가부채는 GDP 대비 48.9%라고 적어놨지만, 실제 OECD 발표는 45.4%였습니다.

부채가 3.5%p 더 많게 적어놓은 겁니다.

그 이전 연도들도 수치가 모조리 틀립니다.

확인 결과, 기재부가 다른 나라 수치는 OECD 발표대로 쓰면서 우리나라 수치만 국제통화기금, IMF 자료로 바꿔 쓴 거였습니다.

OECD는 한국은행, IMF는 기재부가 산출한 수치를 쓰는데, 이 두 가지 수치를 섞어서 사용한 겁니다.

[이상민/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OECD 기준과 IMF 기준은 통계 산출 방식 자체가 다른 거거든요. 그런데 이 두 개의 기준을 혼용해서 사용한다는 것은 통계 오류이고요. 이런 식의 잘못된 기준을 가지고 국가 통계를 만든다면 아무도 신뢰할 수 없는 거죠.]

기재부에 이유를 묻자, 의도는 없었다는 해명이 돌아왔습니다.

"국가부채를 세계 평균을 내는 곳이 OECD밖에 없어서 인용했을 뿐이고, 표 밑에 한국은 기준이 다르다고 적어놓아서 문제가 될 줄 몰랐다"고 답했습니다.

기재부는 취재 끝에 앞으로는 OECD와 IMF, 두 기관의 수치를 같이 표시하겠다고 물러섰지만, 민감한 경제 수치를 허투루 다뤄왔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영상편집 : 이승열)

조기호 기자cjkh@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