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코로나 '셀프 치료'..동네 병원 참여 '글쎄'

김덕현 기자 2022. 2. 9. 19: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환자 숫자가 가파르게 늘면서, 재택 치료자 관리 체계도 내일(10일)부터 달라집니다.

증세가 나빠지면 동네 병원에 전화해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문제는 이게 집 근처 어디에서 가능한지 알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내일부터 몸이 아프면 어느 병원으로 연락해야 할지 따로 알려주는 곳은 없습니다.

정부는 복지부 홈페이지 등에서 전화로 진료 가능한 병원을 찾을 수 있다고 하지만, 호흡기전담클리닉을 제외하고 진료까지 하는 동네 병·의원 명단은 정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환자 숫자가 가파르게 늘면서, 재택 치료자 관리 체계도 내일(10일)부터 달라집니다. 많은 확진자가 이제는 스스로 몸 상태 확인하고 건강을 챙겨야 합니다. 증세가 나빠지면 동네 병원에 전화해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문제는 이게 집 근처 어디에서 가능한지 알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김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코로나 확진 뒤 집에서 닷새째 격리 중인 A 씨.

내일부터 몸이 아프면 어느 병원으로 연락해야 할지 따로 알려주는 곳은 없습니다.

[A 씨/재택치료 환자 : (정부 홈페이지에는)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고 그냥 병원 리스트만 나와 있더라고요. 이 병원에 그냥 전화해서 되는 건지 아니면 예약해야 하는 건지 (안내가 없어서….)]

혼자 사는 데다, 따로 사는 가족마저 확진돼 약을 갖다줄 사람도 없는 상황.

A 씨는 병원 정보를 담은 민간 앱을 통해 앱에 올라온 의사와 전화해서 해열제를 처방, 배송받았습니다.

[A 씨/재택치료 환자 : 저처럼 1인 가구는 지금 이동할 방법이 아예 없잖아요. 약간 버려진 느낌이 든다고 해야 하나?]

정부는 복지부 홈페이지 등에서 전화로 진료 가능한 병원을 찾을 수 있다고 하지만, 호흡기전담클리닉을 제외하고 진료까지 하는 동네 병·의원 명단은 정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또 아직 참여하는 병·의원이 많지 않아 쏟아지는 전화 진료를 감당할 수 있을 진 미지수입니다.

비대면 진료의 세부 가이드라인도 마련되지 않아 참여를 망설이는 병원도 있습니다.

[동네 병원 의사 : 비대면 상담 전화해서 진료하는 게 의사들 입장에선 불안감이 크죠.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얼마나 효과 있게 약 용량 조절이 가능할까?]

24시간 운영한다는 재택관리지원 상담센터 대부분은 아직 문을 열지 않은 상태입니다.

야간이나 휴일에 상담센터와 연결이 안 된 재택치료자들이 119 전화로 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영상편집 : 윤태호, VJ : 오세관)

▷ 오미크론 숨은 확진자가 훨씬 많다? 위중증·사망 추이는?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6634407 ]
▷ 하루 확진 5만 명 육박…코로나 환자도 '일반 병동' 수용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6634408 ]

김덕현 기자dk@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