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회_겨울철 산불 예방 요령
Q. 최근 산불 피해 발생? 18일 기준 전국 산불 45건·20.37ha 피해 발생 기후변화로 겨울철 온도 상승·건조한 날씨 지속 올해 산불 지난 10년 평균치에 비해 3배 증가
Q. 최근 야간 산불 증가? 야간 산불 발생 시 진화 인력·장비 투입 어려워 야간산불 전체 산불의 42.4% 피해 면적 76.2% 10일 기준 야간 산불로 산림 피해 11.86ha 발생
Q. 1월 산불 위험 높아져? 국립산림과학원 산불 기상지수 변화 분석 2000년 이후 1월 산불발생위험 30~50% 높아져 지난해 1월 연간 산불 중13%인 44건 발생
Q. 건조한 날씨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 실효습도 50% 이하일 때 화재 위험 높아져 낙엽 수분 함유량 15%일 때 발화 확률 25배 높아 실효습도 25% 이하 지속 예상될 때 건조경보
Q. 올 겨울 강수량 부족? 최근 3개월 누적강수량 평년보다 38% 부족 ‘보통가뭄’등급 받은 시군 24곳으로 증가 강원영동·경북동해안·충북 중심으로 가뭄 발생
Q. 산림청 대형산불주의보 발령? 산림청 경상·강원 등에 대형산불주의보 발령 초속 9~15m 강풍으로 산불 위험 높아져 산불위험지수 단계 낮음→다소높음 상향
Q. 강풍이 화재 확산에 미치는 영향? 초속 6m 풍속·경사 30°산불 79배까지 빨라져 2019년 고성 산불 최대 순간풍속 초속 35.6m 당시 시간당 5.1km의 속도로 산불 확산
Q. 산불 발생 원인은? 산불 원인 48% ‘입산자 실화·소각’ 구미에서 화목보일러 불씨 옮겨 붙어 산불 발생 최근 산불 대부분 입산자 실화가 원인
Q. 강원도 산불방지대책본부 가동? 전국에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관심 발령 강원도 산불방지대책본부 1월로 앞당겨 가동 강원 1월 산불건수·피해면적 지난해 대비 증가
Q. 산림청 산불 방지 대책은? 초대형 헬기 도입·낡은 산불진화 차량 교체 드론감시단 가동 무단입산·불법소각 감시 산림·산림 인접지 소각 허가 제도 폐지
Q. 산불 예방 수칙은? 산행 전 입산 통제·등산로 폐쇄 여부 확인해야 등산객은 라이터·담배 등 인화물질 소지 말아야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 논·밭 소각 말아야
Q. 산불 발견 시 행동 요령은? 바람 방향 감안해 산불 진행 경로에서 벗어나야 저지대·연료 없는 지역·바위 뒤 등으로 대피 산악위치 표지판 고유번호 알려주면 도움 돼
Copyright Ⓒ MB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명, 한동훈 건너뛰고 바로 윤 대통령에 역공…왜?
- '땅 문제로 싸우다가'…추석날 친척 얼굴에 흉기 휘두른 70대
- 기름진 추석 음식 '나쁜 콜레스테롤'높일라…누적되면 심혈관질환으로
- 날달걀 살모넬라균 있어 식중독 위험…'이 방법'으로 먹으면 안전하다
- '영재' 백강현 아버지 ″그간 받은 후원금 싱글맘에게 기부하겠다″
- 하의실종 남성이 쫓아와 신고한 여성에게 경찰 ″대로변에서 성범죄 일어나지 않는다″
- '스케일링 연간 1회' '노인 임플란트 2개' 건보 혜택 적용된다
- 부산 동구 범일동 한 버스정류장에 멧돼지 출현…엽사가 출동해 사살
- 고래와 낚싯배 충돌로 1명 사망 …″이맘때 특히 조심해야″
- [아시안게임] 비장함 대신 유쾌함…야구 대표팀 '4연패 정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