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을 바꾼 피카소조차..끊임없이 덧칠하며 고민했다 [아트마켓 사용설명서]

송경은 2022. 1. 29. 15: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이 휴대용 X선 형광 분석 기기(MA-XRF)를 이용해 피카소가 1902년 그린 `웅크린 거지`를 분석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사진 제공=미국 노스웨스턴대
[아트마켓 사용설명서-5] 파블로 피카소, 빈센트 반 고흐, 클로드 모네, 에드가르 드가…. 미술계 거장들은 생전에 어떤 고민을 거쳐 작품을 완성했을까. 최근 이런 질문에 답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과학분석기법이 주목받고 있다.

유화는 물감의 농도에 따라 불투명에 가깝게 색을 표현할 수 있어 작가들이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처음 그렸던 그림 위에 여러 번 물감을 덧칠해 고치는 일이 흔하다. 일례로 19세기 화가 장 프랑수아 밀레의 작품 '만종(L'Angelus)'에 등장하는 감자 바구니에는 원래 죽은 아기가 그려져 있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기도 했다.

담요를 뒤집어 쓴 사람이 손을 안으로 숨긴 채 구석에 웅크려 앉아 있는 모습을 그린 파블로 피카소의 1902년 작 '웅크린 거지(Misereuse accroupie)' 뒤에 다른 그림이 숨겨져 있었다는 것을 밝혀낸 것도 이런 물감층 분석을 통해 이뤄졌다.

미국 노스웨스턴대-시카고예술연구소 과학적예술연구센터(NU-ACCESS) 연구진은 적외선, X선 영상 분석 기법을 토대로 피카소가 웅크린 거지를 완성하기 전 처음 그렸던 그림은 빵을 든 여인이었다는 사실을 밝혀내며 2018년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서 발표했다. 연구에는 캐나다 토론토의 온타리오 아트 갤러리, 미국 워싱턴의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등도 참여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피카소가 웅크린 거지를 완성하기 전 처음 그렸던 그림은 빵을 든 여인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그 뒤에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라베린트 도르타 공원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다른 작가의 풍경화도 깔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베린트 도르타 공원은 당대 화가들이 자주 찾았던 곳이다.

①은 웅크린 거지를 일반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이다. ②와 ③은 MA-XRF로 각각 납과 바륨 성분을 검출해 얻은 영상으로, 숨겨져 있던 손에 빵을 든 오른팔과 풍경화(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 시)가 드러난 모습이다. /사진 제공=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진은 우선 '초분광 적외선 반사복사법'을 이용해 웅크린 거지의 구석구석을 촬영했다. 여러 파장의 빛을 쪼인 뒤 그림에 반사돼 돌아오는 빛으로 영상화하는 방법이다. 물감 성분에 따라 투과, 반사시키는 빛의 파장이 다른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숨겨진 그림 면면의 '스냅숏'을 얻을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연구진은 가려져 있었던 피카소의 붓 터치를 발견했고 '매크로 X선 형광 분석(MA-XRF)'을 활용해 추가 분석했다. MA-XRF를 이용하면 그림 안쪽에 있는 물감 성분과 종류, 색상 등을 알 수 있다.

성분별로 영상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철과 크롬 성분을 검출한 영상에서는 기존의 웅크린 거지 모습이 선명하게 나타났다. 철 성분이 많은 프러시안 블루 색상과 크롬이 많은 녹색 물감은 피카소가 우울증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던 '청색 시기(Blue Period·1901~1904)'에 자주 썼던 물감이다.

반면 납과 카드뮴, 아연 성분이 검출된 영상에서는 그림에서 빵으로 추정되는 둥근 물체를 손에 들고 있는 오른팔의 모습이 나타났다. 녹색 물감에서 많이 나오는 바륨 성분은 풍경화의 풀숲에서만 높게 나왔다. 웅크린 거지 뒤에 깔린 풍경화는 피카소가 아닌 다른 작가의 그림이라는 뜻이다(피카소가 썼던 녹색 물감은 크롬 성분이 많다).

웅크린 거지 뒤에 풍경화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 알려진 건 1992년 X선 영상 촬영을 통해서였다. 하지만 당시 기술로는 이 풍경화가 피카소 본인 그림인지, 다른 사람 그림인지 알기 어려웠다. 어떤 물감으로 그려졌고 피카소가 덧대어 그린 부분이 어딘지 명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 그림에서 보이지 않는 오른팔의 모습을 발견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마크 월턴 NU-ACCESS 공동센터장은 "피카소가 그림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빵을 들고 있던 오른팔을 옷으로 덮은 것"이라며 "빵을 든 모습은 기독교나 천주교의 성찬식 장면을 연상시킬 수 있다. 피카소는 이 그림이 특정 종교를 상징하는 걸 원치 않았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반 고흐의 `패치 오브 그래스(Patch of Grass)’(캔버스에 유채, 30×39㎝, 1887)를 `매크로 X선 형광 분석(MA-XRF)` 장비로 스캔하고 있는 모습. MA-XRF를 활용하면 그림 안쪽에 있는 물감 성분과 종류, 색상 등을 알 수 있다. /사진 제공=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
이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숨겨진 물감층까지 면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MA-XRF는 미술품의 진품 여부를 판정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작가마다 즐겨 사용하는 물감이 다르고, 표현 기법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17세기 작품인데 현대에 사용되는 물감이 칠해져 있다면 이는 명백한 가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케네스 브러멀 온타리오 아트갤러리 큐레이터는 "작가나 시대에 따라 사용하는 물감의 성분이 조금씩 다르다"며 "물감 정보는 누가 언제 어떤 부분을 그렸는지 밝히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는 과거에 그려진 미술 작품을 해석하는 데 과학적인 분석 기법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술사에 던져진 여러 의문점을 해결할 수 있으리란 기대다. 또 과거에는 영상 분석을 위해 수백만 원을 들여 작품을 이송해야 했지만 최근에는 휴대용 장비로도 분석이 가능해져 활용 가치가 더욱 높아졌다.

월턴 센터장은 "그림 뒤에 가려진 여러 층의 붓 터치를 꿰뚫어보면 화가가 그림을 완성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고민을 했는지 엿볼 수 있다. 이런 흔적은 작품은 물론이고 화가를 연구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경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