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냐, 4자냐..여야 후보 토론 놓고 줄다리기, 속내는?

이현영 기자 2022. 1. 28. 20: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치권 움직임은 이현영 기자와 더 짚어보겠습니다.

[이현영 기자 : 일단 국민의힘의 속내, 간단합니다. 민심이 오가는 설 연휴 직전에 먼저 양자 토론을 하고 나서 대장동 의혹을 비롯한 이재명 민주당 후보의 취약점을 좀 부각을 시키겠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위해서 보름 전부터 이 후보 관련 공격 포인트 뭐 수백 가지를 취합했다고 하고요, 또 김재원 최고위원을 윤 후보와 일대일 대결을 하게 하면서 가상 연습도 계속해왔다고 합니다. 또 단일화 상대로 거론되는 안철수 후보를 설 연휴 민심 소재에서 배제시키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민주당은 또 이런 국민의힘 의도를 역공합니다. 우리는 양자든 다자든 다 자신 있다, 이런저런 조건을 붙여서 토론을 피하는 것은 오히려 윤석열 후보다, 이렇게 강조를 하고 있고요. 또 양자든 다자든 이재명 후보가 행정 능력, 또 정책 이해도, 또 토론 경험. 모두 다 우위에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장점들이 좀 과도하게 비치지 않게끔 김건희 씨 관련 이슈는 언급하지 않겠다, 거론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안정감 위주의 전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정치권 움직임은 이현영 기자와 더 짚어보겠습니다.

Q. 여야, 토론 놓고 줄다리기…속내는?

[이현영 기자 : 일단 국민의힘의 속내, 간단합니다. 민심이 오가는 설 연휴 직전에 먼저 양자 토론을 하고 나서 대장동 의혹을 비롯한 이재명 민주당 후보의 취약점을 좀 부각을 시키겠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위해서 보름 전부터 이 후보 관련 공격 포인트 뭐 수백 가지를 취합했다고 하고요, 또 김재원 최고위원을 윤 후보와 일대일 대결을 하게 하면서 가상 연습도 계속해왔다고 합니다. 또 단일화 상대로 거론되는 안철수 후보를 설 연휴 민심 소재에서 배제시키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민주당은 또 이런 국민의힘 의도를 역공합니다. 우리는 양자든 다자든 다 자신 있다, 이런저런 조건을 붙여서 토론을 피하는 것은 오히려 윤석열 후보다, 이렇게 강조를 하고 있고요. 또 양자든 다자든 이재명 후보가 행정 능력, 또 정책 이해도, 또 토론 경험. 모두 다 우위에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장점들이 좀 과도하게 비치지 않게끔 김건희 씨 관련 이슈는 언급하지 않겠다, 거론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안정감 위주의 전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여야 날선 신경전 계속

[이현영 기자 : 어제(27일) 이재명 후보가 영호남 간 격차를 언급하면서 공장에 갔더니 관리자는 다 경상도 사람이고 말단 노동자는 전라도 사람이더라, 박정희 정권이 전라도를 소외시켰다라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이걸 두고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불량한 정치인이 선거 때마다 이용하는 지역감정"이라면서 "자살테러"라고 직격을 했습니다. 그러자 이 후보는 분열과 증오를 이용하려는 극우포퓰리즘적 경향을 되돌아보라고 맞받기도 했습니다.]

Q. 대구 '무공천' 논란

[이현영 기자 : 국민의힘이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곽상도 전 의원 지역구인 대구 중남구에 무공천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에 김재원 최고위원이 무소속으로 출마를 해서 당선돼 돌아오겠다는 입장을 냈는데요. 당장 민주당에서는 무소속으로 옷만 바꿔 입으면 국민이 속아서 찍어준다고 생각을 하느냐, 이러면서 맹공을 했습니다. 이 후보 발언과 대구 무공천 논란, 영호남 유권자들이 설 연휴 간 마음에 넣어둘 이슈인 것 같습니다.]

(영상취재 : 김흥기·김남성, 영상편집 : 최진화)

▷ 31일에는 '양자 토론' · 다음 달 3일에는 '4자 토론' 추진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6622770 ]

이현영 기자leehy@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