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오스크 '어르신 문턱' 낮춘다

김보미 기자 2022. 1. 27. 21: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디지털재단 글자 확대·구조 단순화 '고령층 표준' 제안

[경향신문]

‘정보를 나타내는 글씨는 가로와 세로 모두 최소 10㎜ 이상일 것’ ‘상징적인 이미지(아이콘)는 글씨와 함께 사용할 것’ ‘한 번에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순한 구조일 것’.

서울디지털재단은 고령층도 쉽게 이용 가능한 키오스크(무인정보단말기) 가이드라인으로 이 같은 ‘고령층 친화 디지털 접근성 표준’을 만들어 26일 발표했다. 노화에 따른 신체·인지 특성과 키오스크를 만났을 때 느끼는 심리적 상태도 반영해 설계한 것이다. 정보나 구조가 명확하게 표시되고, 흐름을 쉽게 따라가게 하는 데 초점을 뒀다.

우선 글자와 버튼은 알아보기 편해야 한다. 배경과 글씨의 명암 차이가 뚜렷하고, 버튼은 입체감을 줘야 한다. 선택한 상태 표시도 명확하게 드러나야 한다. 일정한 순서에 따라 화면의 메뉴, 버튼, 서식이 구성돼야 하는데 ‘화면 전환’과 ‘메뉴’는 가로로, ‘목록’과 ‘정보’는 세로로 스크롤하는 것이 좋다고 재단 측은 설명한다. 만약 상하좌우로 추가로 내용이 있다면 다음 장의 일부가 화면에 미리 보여야 한다. 24인치 이상 화면에서는 중요한 버튼과 내용이 중앙에 오면 보기 쉽다.

상품이 전문용어, 외래어, 약어, 마케팅 용어라면 설명을 달거나 일상적인 언어로 대체해야 한다. 하나를 선택하는 도중에 추천, 제안, 광고 정보가 떠서 또 다른 작업을 던지는 구조는 고령층에게 어렵다. 또 주문 등을 완료하는 과정에서 현재 어느 단계인지를 보여주고 잘못 입력했거나 잘못 선택했을 때 쉽게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카드 결제를 위한 투입구 등 화면 밖에서 조작이 필요한 경우는 불빛으로 그 위치를 알리고, 화면에도 영상이나 그림으로 현재 상태를 띄워 흐름을 놓치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

특히 재단 측은 ‘일반모드’보다 과정을 축소한 ‘간편모드’도 제안한다. 추가 메뉴 등을 복잡하게 고르지 않아도 되고, 포인트 적립이나 광고 팝업 등이 생략된 버전이다.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