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국보 경매인데..간송미술관 불교 유물 낙찰 실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가지정문화재 국보가 처음으로 경매에 나왔지만 모두 낙찰에 실패했습니다.
27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케이옥션 본사에서 열린 경매에 국보 제 72호 '금동 계미명 삼존불입상'과 국보 제 73호 '금동 삼존불감'이 출품됐지만 응찰자가 나오지 않아 2점 모두 유찰됐습니다.
'금동 계미명 삼존불입상'은 시작가 32억 원에, '금동 삼존불감'은 27억 원에 경매를 시작하며 새 주인을 찾았지만 결국 다시 간송미술관으로 돌아가게 됐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가지정문화재 국보가 처음으로 경매에 나왔지만 모두 낙찰에 실패했습니다.
27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케이옥션 본사에서 열린 경매에 국보 제 72호 '금동 계미명 삼존불입상'과 국보 제 73호 '금동 삼존불감'이 출품됐지만 응찰자가 나오지 않아 2점 모두 유찰됐습니다.
'금동 계미명 삼존불입상'은 시작가 32억 원에, '금동 삼존불감'은 27억 원에 경매를 시작하며 새 주인을 찾았지만 결국 다시 간송미술관으로 돌아가게 됐습니다.
케이옥션의 추정가에 따르면 '금동 계미명 삼존불입상'은 32억~45억 원, '금동 삼존불감'은 28~40억 원이었습니다.
2점 모두 간송 전형필이 수집한 문화재로, '금동 계미명 삼존불입상'은 6세기 초반 동아시아에서 호신불로 유행한 금동삼존불입니다. 이 작품 뒷면에는 '계미년 11월 정일, 보화라는 이가 돌아가신 아버지 조귀인을 위해 만들다'라고 새겨져 있어 정확한 조성 연대를 알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아울러 '금동삼존불감'은 사찰 내부에 조성된 불전을 그대로 축소한 형태의 불감으로, 개인이 사찰 밖에서 예불을 드리기 위해 삼국시대인 서기 563년 18㎝ 높이로 제작됐습니다.
간송미술관이 국보 2점을 경매에 내놓은 이유는 재정난 때문입니다. 간송미술문화재단은은 지난 14일 입장문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문화예술계이 활동이 전반적으로 위축되면서 운영 부담도 가중됐다"며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앞서 간송미술관은 지난 2020년 5월에도 보물 '금동여래입상'과 보물 '금동보살입상' 총 2점을 경매에 내놓은 바 있습니다. 당시에는 국립중앙박물관이 30억 원에 해당 작품을 구매했습니다.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 heyjude@mbn.co.kr]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명 35% vs 윤석열 34% '초박빙'…안철수 2주째 하락 [NBS]
- 한동훈 ″유시민 계좌 추적한 적 없어…죄 있으면 벌 받아야″
- 민갑룡 전 경찰청장 등 전직 경찰 1,200여 명,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
- [영상] 자전거 타던 아이, 주차된 차에 '쾅'…부모 “치료비 달라”
- 방탄소년단, 'Film out'·'Lights'로 일본 레코드협회 플래티넘 인증 획득
- 김건희, 직접 입력한 '학력' 보니…허위 논란 털고 '등판 몸풀기'
- 조국, 정경심 징역 4년에 ″오늘 밥 같이 먹을 줄 알았는데…″
- '오미크론 연구' 안설희 ″코로나 한국 이끌 사람 안철수″
- 윤미향 제명 추진에…남편 ″힘내자″ 글 올리며 반발
- 아베 ″사도광산 세계유산 후보로 추천해야″…외교부 ″예의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