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도전하는 혁신창업자, 최대 1억원 사업화 지원

2022. 1. 27. 18: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1월 28일(금)부터 '2022년도 재도전성공묶음(패키지)' 사업에 참여할 (예비)재창업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재도전성공묶음(패키지)'는 폐업 이력이 있는 예비 재창업자 또는 재창업 7년 이내 기업의 대표자를 대상으로 실패원인분석 등 재창업 교육, 사업화 자금 등을 일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1월 28일(금)부터 ‘2022년도 재도전성공묶음(패키지)’ 사업에 참여할 (예비)재창업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재도전성공묶음(패키지)’는 폐업 이력이 있는 예비 재창업자 또는 재창업 7년 이내 기업의 대표자를 대상으로 실패원인분석 등 재창업 교육, 사업화 자금 등을 일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참고> 재도전성공묶음(패키지) 사업 개요
 
 
○ 공고기간 : 1.28(금) ~ 3.17(목)
 
○ 접수기간 : 3. 4(금) ~ 3.17(목) 18:00까지(K-스타트업 온라인 신청)
 
○ 지원대상 : 폐업 이력이 있는 예비 또는 재창업 7년 이내인 기업의 대표자
 
○ 지원규모 : 267명 내외(일반형 207명, 지식재산(IP) 전략형 30명, 팁스알 30명)
 
○ 지원내용 : 사업화자금, 교육·상담, 성장촉진 지원 등 묶음(패키지)식 재창업 지원
 
○ 지원절차 : 모집공고(1.28~3.17) → 성실경영평가, 서면평가, 대면평가(3~4월) →
협약체결 및 사업수행(5월~)
 

재도전성공묶음(패키지)를 통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1,426명이 재창업에 성공했으며, 다수의 기업이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재도전성공묶음(패키지) 참여기업 사례>
㈜이퀄스킨(‘17.9.15 재창업)
 
- 2020년 참여기업, 피부관리 솔루션
 
- 건강한 생활습관, 식습관 및 피부지식을
공유하여 소비자에게 건강한 피부 제공
 
- ’21년 매출 54억원, 고용 7명
주차장만드는사람들㈜(‘18.7.16 재창업)
- 2019년 참여기업, 주차장 공유 서비스 체제(플랫폼)
 
- 서비스 가입이 별도로 없이 전화 및 어플을 통해 빠르게 주차장 이용 가능 서비스
 
- ’21년 매출 3억원, 고용 12명
㈜시즐(‘16.8.11 재창업)
 
- 2019년 참여기업, 스마트팩토리 공정 분석 솔루션
 
-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시스템에 관한 기획, 개발, 구축 및 운영까지 모든 서비스를 제공
 
- ’21년 매출 101억원, 고용 27명
㈜벨레(‘17.12.22 재창업)
 
- 2020년 참여기업, 가전제품 제공 등
 
- 북유럽 감성의 테이블 모양의 스피커 및
고성능 스피커 등 기술과 감성의 결합 제품 제공
 
- ’21년 매출 50억원, 고용 18명
 

‘22년 재도전성공묶음(패키지) 지원규모는 총 267명 내외로, ①일반형·②지식재산(IP) 전략형·③팁스알(TIPS-R) 등 총 3가지 유형으로 운영한다.

 
구 분 지원내용 인원 주관기관
일반형 청년·중장년 대상별 사업화자금(최대 60백만원), 교육·상담 및 특허 사업화, 성장촉진 프로그램 등 연계
 
* 신용회복이 필요한 경우 채무조정 상담 동시 신청 가능(신용회복위 협업)
207명 권역별 6개
IP전략형 사업화자금(최대 60백만원) + IP전략컨설팅(최대 50백만원, 특허청) 30명 발명진흥회
TIPS-R 10백만원 이상 투자유치기업 대상 사업화자금(최대 100백만원) 지원 30명 엔젤협회
 

먼저, 일반형은 세부적으로 청년·중장년으로 구분하여 모집한다.

청년 일반형은 6개 권역별 주관기관을 통해 만 39세 이하의 예비 또는 7년 이내 재창업자를 모집·선발하여 최대 6천만원의 사업화 자금과 교육형 주관기관별 교육·상담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성과가 우수한 청년 재창업자에게는 민간 벤처캐피탈(VC) 등과 연계한 기업설명회(IR)와 제품 성능개선 및 홍보·마케팅 소요자금도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다.

중장년 일반형은 만 40세 이상의 예비 또는 7년 이내 재창업자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최대 60백만원의 사업화 자금 등을 지원한다.

특히, 중장년 (예비)재창업자 중 지식재산(IP)을 보유한 기술기반 재창업자를 별도로 선발하여 특허청 시니어 기술창업지원사업*과 협업을 통한 특허 사업화도 함께 지원할 예정이다.

* 창업아이템 실현을 위한 지식재산(IP)권리강화, 지식재산(IP)제품사업화 계획, 지식재산(IP)제품검증 등 지원(최대 4천만원)

<중기부-특허청 중장년 지원 프로그램>
재도전 사업화 지원(중기부) + 시니어 특허기반 기술창업지원(특허청)
시제품제작을 위한 사업화자금, 교육·상담 등 지원
(최대 6천만원/8개월)
IP권리분석 및 확보, IP제품사업화 계획, IP제품검증 등 특허사업화 묶음(패키지) 지원
(최대 4천만원/6개월, ‘22년 10개 시범)
 

일반형 신청자 중 채무가 남아 신용회복이 필요한 실패 기업인인 경우 신청·접수 단계에서 사업성 평가와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상담을 동시 신청할 수 있는 채무조정 절차도 지속적으로 운영한다.

* 재도전성공묶음(패키지) 신청 시 ‘채무조정’을 선택하면 신용회복위원회 상담 후 채무조정 절차 진행 가능 (통상 3~4개월 1.5개월 소요)

`지식재산(IP)전략형(특허청 협업)팁스알(TIPS-R)은 ‘22년 지원

물량을 각 30명*으로 확대한다.

* (지식재산(IP) 전략형) 18명 30명, (팁스알(TIPS-R)) 20명 30명

그 밖에, 올해부터는 재창업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교육기관(재도전 아카데미) 3곳을 신규 선정하여 특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할 예정이며,

대·중견기업이 제시하는 과제를 재창업자와 함께 해결하는 ’재도전 대스타 해결사 체제(플랫폼)‘ 개최(’22.하), ’재도전 창업기업 기업설명회(IR)‘ 확대(’21, 6회 → ‘22, 10회) 및 재창업자금(중진공 융자) 전용 트랙 운영 등 재창업자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연계 지원도 강화한다.

자세한 사항은 케이(K)-스타트업(k-startup.go.kr) 누리집에 게시된 사업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예비)재창업자는 K-스타트업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재도약정책과 박정은 사무관(☎044-204-7483)과 허양 주무관(7486)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재도전성공묶음(패키지) 개요
 

□ (목적) 우수 (예비)재창업자를 발굴하여 실패원인분석을 통한 문제해결형 교육에서 사업화까지 묶음(패키지)로 지원

□ (지원대상) 예비 또는 7년 이내 재창업자

□ (지원내용) 사업화 자금(최대 100백만원), 재창업 교육 및 상담 등

재창업 성공을 위한 묶음(패키지)식 지원(’22, 267명 내외)
구 분 지원내용 인원 주관기관
일반형 청년·중장년 대상별 사업화자금(최대 60백만원), 교육·상담 및 특허 사업화, 성장촉진 프로그램 등 연계
 
* 신용회복이 필요한 경우 채무조정 상담 동시 신청 가능(신용회복위 협업)
207명 권역별 6개
IP전략형 사업화자금(최대 60백만원) + IP전략컨설팅(최대 50백만원, 특허청) 30명 발명진흥회
TIPS-R 10백만원 이상 투자유치기업 대상 사업화자금(최대 100백만원) 지원 30명 엔젤협회
 

□ (시행주체) 창업진흥원(전담기관)

□ (추진 일정) 공고·모집, 평가, 교육, 사업화 등

 
재창업자 공고·모집 성실경영·서면·
대면평가
사업화 지원 후속 연계지원
중기부, 창진원 창진원, 주관기관 재창업자 창진원
(IR대회 등)
’22.1.28.~3.17.   ’22.3~5월   ’22.5월~’22.12월   ’23월년 연중
 
※연도별 지원실적
구 분 2016년 2017년 2018 2019 2020 2021
예산액 53억원 150억원 150억원 178억원 260억원 140억원
지원자 수 98명 298명 284명 297명 493명 207명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