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무인 배송 등 물류로봇 특허출원 연평균 29% 급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물류산업이 크게 성장하면서 물류로봇 관련 특허출원이 지난 5년간 연평균 3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지능형로봇심사과 이성현 심사관은 "물류로봇 기술은 새로운 기술과의 융합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다"며 "대기업은 포장, 분류, 적재 등에서 중소기업은 배송 등의 물류의 마지막 기술에서 더 많은 관심을 갖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중소기업 특허 출원 견인, 기술개발 활발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물류산업이 크게 성장하면서 물류로봇 관련 특허출원이 지난 5년간 연평균 3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특허청에 따르면 물류로봇 관련 특허출원은 지난 2016년 28건에서 2020년 77건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29% 가량 성장하면서 모두 234건이 나왔다.
물류로봇 유형별로는 ▲물류 창고용 픽업·적재 로봇이 118건(50.4%) ▲무인 배송용 로봇이 116건(49.6%)으로 집계됐다. 이중 무인 배송용 로봇 분야는 2018년 이후 매년 67%씩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대면 서비스가 확장되면서 각종 물류의 무인배송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율주행과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무인 배송기술 개발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특허청은 보고 있다.
픽업·적재용 로봇 출원도 물품을 단순히 집어서 운반하는 기능에서 물품을 분류하고 패키징하는 기능으로 확장되면서 관련 기술개발이 치열해지고 있다.
출원인 유형별로는 내국인 출원인이 78%로 외국 출원인(22%)보다 큰 우위를 점하고 있어 국내기업들의 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 출원인 중에서는 중소기업이 32%(76건), 대기업 22%(52건), 대학·연구소 15%(66건), 개인 8%(19건) 순으로 대기업의 출원은 주춤한 반면 중소기업의 출원은 2018년 이후 연평균 90%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무인 배송용 로봇관련 중소기업 출원이 늘고 있어 국내 중소기업들은 무인배송 분야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허청 지능형로봇심사과 이성현 심사관은 "물류로봇 기술은 새로운 기술과의 융합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다"며 "대기업은 포장, 분류, 적재 등에서 중소기업은 배송 등의 물류의 마지막 기술에서 더 많은 관심을 갖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ys0505@newsis.com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세영, 日남친 파혼 이유? "자꾸만 나를 낮추는 사람은 인연 아냐"
- 강동원 "100평 부지 단독주택에 거주…자가 아닌 렌트"(종합)
- '유튜브 수익 49억' 침착맨, 활동 중단…주호민 사태 여파?
- 이혜영 "前남편 이상민, 결혼도 못하고 가슴 아파…행복한 가정 꾸리길"
- 임영웅, 센스 넘치는 추석 인사 "대학·결혼 얘기 금지"
- 이찬혁 母 "이수현과 독립 선언 충격…한 달 동안 울어"
- 치과의사 이수진 "맨날 억대 돈 벌었는데…中 환자 줄어 힘들다"
- '25세 요절' 男배우, 충격적 사망원인 밝혀져…"필로폰 등 약물중독"
- '13남매 장녀' 남보라, 붕어빵 여동생들 공개 "도움 없이 배우 도전"
- 놀이기구에 머리칼 끼여…印여성 7m 상공서 공포(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