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뀐 코로나19 검사 첫 날 보건소·병의원 상황은?

유승용 2022. 1. 26. 22:0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광주] [앵커]

광주와 전남에서는 코로나 선별진료소에서 자가검사키트로 검사가 진행됐습니다.

지정된 병의원에서도 신속항원검사가 시작됐는데요.

검사 결과는 빨리 나오지만 불편을 호소하는 시민들도 많았습니다.

바뀐 코로나 검사가 시작된 첫날 유승용 기자가 현장을 점검했습니다.

[리포트]

코로나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호흡기전담 병원입니다.

의료진이 검체를 채취한 뒤 유전자증폭검사, PCR을 의뢰하는 대신 자가검사키트로 그 자리에서 시약 검사를 하고 15분 안에 결과를 알려줍니다.

병의원에서 진단검사와 진료가 가능하도록 바뀐건데 광주 23곳, 전남은 15곳이 지정돼 있습니다.

음성확인서도 발급됩니다.

[서연주/호흡기전담 클리닉 간호사 : "금방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그걸로 인해 조금 원장님들이 의심 환자와 아닌 환자들을 구별하기가 더 편하게 판단이 좀 빠르게 된 것 같아서요."]

보건소 선별진료소에도 자가검사키트 검체 채취실과 검사소가 따로 설치됐습니다.

질병관리청이 1차로 배부한 자가검사키트는 보건소마다 3천 개 씩.

그런데 검체 용기가 한 봉지에 2개씩 담긴 2회분 세트입니다.

개봉시 오염 우려가 있고 보관도 어려워 이 보건소는 우선 자체 확보한 다른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걸 선생님 코 안에 양쪽에 열 번 이상씩 문질러 주세요. 충분히 묻어나올 수 있도록."]

스스로 검체까지 채취하는 말 그대로 자가검사여서 현장에선 어려움을 호소하는 검사자들도 많았습니다.

[정순옥/광주시 누문동 : "오늘은 좀 불편했어요 사실. 그런데 이제 잘 모르고 여러가지로 돼 있더라고요. 해주시는 선생님이 잘 해가지고 무사히 끝냈어요."]

자가검사라곤 하지만 보건소마다 관리 인력이 최소 6명 이상은 추가로 필요한 상황.

확진자 급증에 따라 기존 PCR 검사 수요도 늘 수 있어 방역관리 인력난은 가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유승용입니다.

유승용 기자 (hara1848@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