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해외 투자자, 복수의결권보다 주목하는건 韓 예측 가능성"

함지현 2022. 1. 26. 21: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차정훈 창업벤처혁신실장 "예측 가능성 높이면 투자 활성화"
"유니콘 글로벌 지향 긍정적..수도권 투자 쏠림 해소해야"
벤처 글로벌화·지역 생태계 활성화 등 5대 추진 방안도 밝혀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차정훈 중소벤처기업부 창업벤처혁신실장은 “복수의결권이라는 하나의 제도보다 우리나라 규제 환경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해외 투자자들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차 실장은 26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해외 투자자들이 국내 벤처에 투자하는 데 가장 큰 리스크인 불확실한 예측 가능성을 줄여준다면 해외 투자가 훨씬 더 활성화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물론 개별 규제에 대한 해소의 의지도 밝혔다. 그는 “복수의결권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 중인데 중기부뿐 아니라 이를 찬성하고 희망하는 다양한 단체들과 의원들에 대한 설득을 할 것”이라며 “진행에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부연했다.

우리나라 유니콘 기업들이 해외 자본에 매각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우리나라는 높아진 비상장 기업의 가치를 받을만한 회수시장이 없다”며 “이 문제는 중기부 혼자 해결할 수도 없어 관련부처와 협력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니콘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면서 사업을 한다는 것은 긍정적이라고 생각한다”며 “물론 이 과정에서 국내 고용과 사업에 미치는 제도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은 명확하다”고 피력했다.

차 실장은 벤처 투자액이 사상 최고액을 기록할 정도로 돈이 몰리고 있지만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각하다는 점과 관련, 오는 2월 중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금의 벤처붐을 만든 것도 8000억원에 이르는 투자를 한꺼번에 했기에 가능했다”며 “이를 벤치마킹해 엔젤투자부터 VC(벤처캐피털) 투자까지 이어지는 자금의 흐름을 만들고, 이를 운영할 수 있는 투자역, 운용사들을 많이 발굴한 후 성장의 기회를 주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역 벤처 활성화를 위해 근로자들이 살기 좋은 환경이 필요하다는 질문에는 “최근 많은 스타트업들이 비대면 업무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 있다”며 “변화된 근무 환경에 의해 인재들이 서울에 살지 않고 지방으로 나가는 모습이 보일 것”이라고 답했다.

이와 관련, 오히려 지역 기업보다 수도권 기업이 수혜를 입는 게 아니냐는 반문에는 “해결할 수 있는 축이 여러 가지라는 의미”라며 “최근 미국도 고비용 구조인 대도시가 해체되고 새로운 지역으로 많은 기업과 사람이 이전하는 방식이 커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차 실장은 올해 창업벤처혁신실의 주요 정책과제도 발표했다. △벤처·스타트업의 글로벌화 지속 추진 △지역 벤처·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제2벤처붐의 안착으로 글로벌 4대 벤처강국 도약 △역신적이고 시장 친화적인 R&D(연구개발) 확대 △스마트공장 고도화 및 데이터 기반 제조혁신 등 5가지 축이 핵심이다.

벤처 스타트업의 글로벌화를 위해서는 신산업 분야 창업기업 지원을 확대하고 글로벌기업과의 협업, 팁스(TIPS) 운영사 범위 확대 등을 제시했다. 글로벌 벤처펀드 역시 당초 4000억원의 조성 목표를 5배가량 상회하는 2조 3000억원 이상을 조성, 벤처기업의 해외투자 유치·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지역 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중심대학은 선정·지원하고 지역 뉴딜 벤처펀드도 4개 권역에서 2024년까지 최대 5000억원까지 조성할 계획이다. 민·관 협의회로 구성한 ‘엔젤투자허브’도 꾸린다.

제2벤처붐 안착 방안으로는 모태펀드가 약 1조원을 출자해 2조원 이상의 벤처펀드를 추가조성하는 모험자본 확대를 꼽았다. 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해 올해 하반기까지 M&A 관련 투자 제도를 개선하고 벤처기업법 일몰기한 폐지 등도 추진한다.

R&D 지원을 위해서는 VC가 투자하면 정부가 후 매칭 투자하는 시장친화적 R&D 지원을 확대하고 산학연 협력을 통한 역량 강화에도 나선다.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전환을 위해서도 50개사에 55억원을 지원한다.

스마트공장 고도화 방안으로는 ‘K-스마트 등대공장’ 구축과 디지털 클러스터 확대, KAMP 고도화, 데이터 표준화 지원 등을 내세웠다.

함지현 (hamz@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