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한영, '초양극화 시대' 신년 경제전망 세미나 개최

김명환 2022. 1. 26. 18: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창용 IMF 아태국장 "세계경제 회복, 양극화 두드러질 것"
박용근 EY한영 대표 "핵심 변수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EY한영은 26일 `2022 EY한영 신년 경제전망 세미나`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사진 제공 = EY한영]
EY한영은 '신년 경제전망 세미나'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세미나는 '초양극화(The Great Divide) 시대: 기업 신성장 공식'을 주제로 열렸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세미나는 국내 주요 기업인과 경제계 인사 약 1000명이 참석했다.

'2022년 세계 주요국의 경제 흐름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발표를 한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국장은 올해 경제 흐름의 키워드로 '성장세 둔화 및 양극화'와 '선진국 거시경제정책 정상화의 시작'을 꼽았다.

이 국장은 "올해 세계 경제는 회복세가 지속되겠지만 성장률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둔화될 것"이라며 "회복 양상이 국가별, 산업별로 큰 차이를 보임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전망했다.주요 불확실성 요소로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 미국 금리 상승의 파급 효과와 자산가격 조정, 미중 갈등 악화, 중국 경제의 둔화 등을 짚었다.

아시아 지역에 대해 그는 "높은 국가부채 비율과 약한 경제 회복세로 인해서 재정 및 통화 정책의 여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보며 이에 대한 대비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특히 한국은 경기회복세가 완전히 자리잡지 못한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이 중앙은행 목표치를 상회하고 있다"며 "물가안정, 경기회복, 자산가격 조정의 연착륙 등 상이한 목표를 조율하기 위해서는 통화 재정정책의 섬세한 공조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용근 EY한영 대표이사는 "올해 글로벌 경제는 보다 본격적으로 성장의 격차에 직면할 것"이라며 '초양극화'라는 키워드를 제시했다. 이어 그는 "혁신 성장 기업과 도태 기업 간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커지는 시장에서 핵심 변수는 바로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이라고 강조했다.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