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위 아파트값 격차 10배로..집값 양극화 가속

보도국 2022. 1. 25. 22: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전국의 집값이 거래절벽 속에 하향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동시에 양극화도 심화하고 있는데요.

새해 들어 전국 상위 20%와 하위 20% 간 아파트값 격차가 10배에 달했습니다.

월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점도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최지숙 기자입니다.

[기자]

비수도권에서 수도권 외곽지역 그리고 서울로 집값은 조금씩 빠지고 있지만 동시에 양극화의 골은 깊어졌습니다.

이달 전국 아파트값 5분위 배율은 매매 9.8, 전세 7.7.

전국적으로 가격 상위 20% 아파트가 하위 20% 아파트보다 매매가는 9.8배, 전셋값은 7.7배 높다는 뜻인데, 2008년 12월 관련 조사 이후 가장 큰 격차입니다.

전국 하위 20% 아파트값은 12월보다 떨어져 평균 1억 2,400여만원이었던 반면, 상위 20% 아파트값은 평균 12억 1,300여만원으로 2,300여만원 올라 처음 12억원을 돌파했습니다.

서울 아파트는 3.3㎡당 매매가가 5,000만원을 넘어선 가운데 서울과 지방 아파트 간 평균 매매가 차이가 10억원이 넘었습니다.

집값 격차도 벌어지지만 돈줄은 막히고 다주택자의 조세 부담 전가가 더해져 전세의 월세화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서울의 월세 거래량은 6만 8,700여 건으로 2011년 관련 조사 이래 최대치였고, 지난 달 기준 서울 세입자 10명 중 4명은 월세나 반전세에 살고 있었습니다.

<박원갑 /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전셋값이 급등했는데 목돈이 여의치 않으면 오른 보증금은 월세로 지급할 수밖에 없어서 앞으로 월세화 흐름은 좀 더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급 부족과 각종 규제에, 뛰는 곳은 더 뛰는 양극화까지.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을 위한 보완책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 (js173@yna.co.kr)

#집값 #부동산 #양극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