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릴수록 손해 도시철도.."무임손실 국가가 부담해야"

김영록 2022. 1. 25. 22: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부산][앵커]

만 65살 이상 노인 등은 도시철도를 무료로 탈 수 있죠,

이동권 보호를 위한 정책이지만, 무임승차 규모가 늘며 손실도 커지고 있는데요,

전국 6개 도시철도 기관 노사가 막대한 손실로 도시철도 안전이 위협받는다며, 국가에서 무임승차 비용을 부담하라고 공동 대응에 나섰습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의 한 도시철도 역사입니다.

만 65살 이상 노인은 신분증만 있으면 무료로 탈 수 있습니다.

[김종석/부산 연산동 : "참 편해요. 국가에서 많이 보조해 주니까 좋은 거죠. 노인들한테."]

그런데 이런 무임승차 제도가 운영기관에는 큰 부담입니다.

지난해 무임승차로 생긴 손실이 부산에서만 천억 원이 넘었습니다.

시민들 사이에서도 무임승차제를 손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양미자/부산 연산동 : "(혜택)연령을 좀 높이는 게 낫지 싶어요. 왜냐하면 요즘에는 나이가 65세 돼도 사람들이 다 경제활동하는 사람들도 많고, 그렇기 때문에…."]

특히 부산지역은 고령화 문제와 맞물려 무임승차 비율도 커지고 있습니다.

2016년 26%던 무임승차 비율은 지난해 31%까지 늘었습니다.

10명 중 7명만 돈을 내고 타는 겁니다.

부산교통공사는 무임손실로 적자 규모가 커져 낡은 시설에 투자하기가 쉽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부산도시철도에는 전동차 등 30년 이상 된 노후시설 비중이 22%를 넘습니다.

전국 6개 도시철도 운영기관 노사가 무임손실 비용을 국가에서 내라며 공동으로 정책 건의문을 낸 이유입니다.

[한문희/부산교통공사 사장 : "국가 법령에 의해서 이게 지원되는 문제라서 국가가 해결해야 하는 게 맞다, 이렇게 보고 있고요. 각 교통공사가 재정에 심한 문제를 겪고 있기 때문에 이게 좀 더 장기화하면 시민의 편리나 안전에 큰 문제가…."]

건의문은 이번 주 여야 대선후보 캠프에 전달합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는 국비 등 무임승차제 지원 방안은 아직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이한범/그래픽:김명진

김영록 기자 (kiyuro@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