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억 인구감소 걱정한다는 中.. 새로 태어난 아이 수 세어보니

2022. 1. 25. 22: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1년 중국 호적에 등재된 신생아 수가 887만 3000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천만 명 이내의 신생아 수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공안부는 '2021년전국성명보고'를 통해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집계된 2021년 신생아 수가 지난 2020년 대비 116만 2000명 급감했다고 25일 공개했다.

지난 2019년 12월 31일 집계된 호적 등록을 마친 신생아 수는 1179만 명에 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2021년 중국 호적에 등재된 신생아 수가 887만 3000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천만 명 이내의 신생아 수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공안부는 ‘2021년전국성명보고’를 통해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집계된 2021년 신생아 수가 지난 2020년 대비 116만 2000명 급감했다고 25일 공개했다. 중국공안부은 매년 한 차례씩 12월 31일을 기준으로 당해연도 출생한 신생아 수를 집계, 공개해오고 있다.

지난 2019년 12월 31일 집계된 호적 등록을 마친 신생아 수는 1179만 명에 달했다. 매년 출생자 수가 꾸준하게 급감하는 추세인 것. 

전문가들은 이런 추세라면 현재 14억 명인 중국 인구가 45년 내에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할 정도다. 

그런데 출산 기피로 인해 인구와 신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한 남아 출생 비율은 여전한 상태로 드러났다. 뿌리 깊은 남아 선호 사상으로 인해 자녀를 가려서 출산하려는 불법 태아 성 감별 검사 등도 사회 문제로 자리잡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해 출생한 신생아 중 남아가 52.75%(468만 1000명), 여아가 47.25%(419만 2000명)을 차지했다. 이와 함께 공안부 호정관리연구센터는 지난해 출생한 신생아들이 가장 선호했던 이름 대한 정보도 공개했다.  

호정관리연구센터는 인구정보관리시스템 등 빅데이터 기술로 집계한 연구 결과, 지난해 등록된 신생아 이름 중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상위 문자는 택(泽) 제(梓) 자(子) 우(宇) 목(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20년 선호도가 높았던 문자 석(汐) 열(芮) 임(霖) 항(航)과 달라진 점이다.  

또, 이 시기 남아 이름으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던 상위 10개 이름으로는 무천(沐宸) 하오위(浩宇) 무천(沐辰) 밍제(茗泽) 이천(奕辰) 위제(宇泽) 하오란(浩然) 이제(奕泽) 위쉬안(宇轩) 무양(沐阳)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여아의 이름으로는 뤄시(若汐) 이눠(一诺) 이한(艺涵) 이눠(依诺) 즈한(梓涵) 이모(苡沫) 위통(雨桐) 신이(欣怡) 위통(语桐) 위시(语汐) 등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특히 지난해 출생한 신생아 여아 중 1만 8000명이 뤄시(若汐)라는 이름으로 등록해 가장 인기 있는 여아 이름으로 기록됐다.  

한편, 같은 시기 가장 많은 출생자 수를 기록한 1위부터 10위까지의 도시에는 △충칭 △청두 △광저우 △베이징 △비제 △린이 △저우커우 △선전 △시안 △정저우 등으로 조사됐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