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가전 '업그레이드'로 늘 신형처럼 쓰세요

조미덥 기자 2022. 1. 25. 21: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올해 20종에 ‘업(UP)가전’ 적용
앱에서 스마트 기기에 신기능 추가

LG전자가 앞으로 생산하는 가전제품은 신기능을 계속 ‘업그레이드’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겠다고 25일 밝혔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업그레이드하면 인터넷으로 연결된 LG전자의 스마트 전자기기에 기능이 추가되는 방식이다. 시간이 흘러도 새 제품을 쓰는 경험을 제공해 LG전자 제품에 대한 고객 충성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LG전자는 올해 세탁기, 건조기, 워시타워, 얼음정수기냉장고, 식기세척기, 에어컨 휘센 타워, 공기청정기, 수제맥주 제조기 홈브루 등 약 20종의 제품군에서 신기능을 업그레이드해 쓸 수 있는 ‘LG 업(UP) 가전’을 적용한 신제품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고객은 스마트폰 ‘LG 씽큐’ 앱에서 클릭 한 번으로 가전제품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반려동물을 키우게 된 고객은 기존에 사용하던 세탁기, 건조기에 반려동물 알레르기 원인 물질을 제거하는 ‘펫케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음성으로 에어컨을 가동하거나, 세탁기를 돌린 채 외출했을 때 원격으로 세탁물 보호 기능을 켜는 신기능도 넣을 수 있다.

이 같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엔 비용이 들지 않는다. 다만 ‘펫케어 필터’ 등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할 때는 비용이 들어간다.

류재철 LG전자 H&A사업본부장은 이날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고객이 익숙한 제품을 사용하면서도 늘 새 제품을 사용하는 듯한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업 가전’을 만들었다”며 “사는 순간 구형이 되는 가전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류 사업본부장은 업그레이드로 인해 가전제품 교체 주기가 길어지지 않냐는 질문에는 “내부에서도 그런 의견이 있었는데, 고객들이 새 기능을 더 잘 쓰기 위해 정보기술(IT) 제품처럼 교체 주기가 짧아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고객 맞춤형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기획, 운영, 개발을 맡는 100여명 규모의 전담 조직을 운영한다. 업 가전 기능은 기본적으로 올해 새로 나온 제품들부터 적용되지만 고객들이 이미 쓰고 있는 제품에서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또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들을 감안해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쉽게 만들려는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류 본부장은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 누구나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조미덥 기자 zorr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