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과 환상으로..기지촌 여성에게 다가서다

오승훈 2022. 1. 25. 18: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7일 개봉하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는 기지촌 여성을 다룬 독특한 영화다.

김동령·박경태 감독이 연출한 이 영화의 독특함은, 다큐와 극영화 기법이 혼재된 과감한 연출에서 나온다.

20여년 전 '두레방'이라는 여성단체에서 만난 이후 줄곧 기지촌을 배회한다는 두 감독은 박씨를 비롯해 자신들의 영화에 출연한 이들의 주거와 건강을 챙기는 등 인간적인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27일 개봉
기지촌 여성 박인순 이야기
다큐적 응시에 판타지 접목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스틸컷. 시네마달 제공

“촬영 대상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거나 팔로하는 방식 대신, 촬영 대상과 의논해 그들이 보여주고 싶은 삶이나 이미지가 무엇인지 이야기하며 협업하는 방식을 택했죠.”(김동령 감독)

“기지촌 여성 박인순을 찾아가는 교수와 미술작가 캐릭터를 통해 현장에 와 ‘아이템’만을 포획해가는 몇몇 언론인이나 예술가들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고 싶었죠.”(박경태 감독)

27일 개봉하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는 기지촌 여성을 다룬 독특한 영화다. 김동령·박경태 감독이 연출한 이 영화의 독특함은, 다큐와 극영화 기법이 혼재된 과감한 연출에서 나온다. 지난 13일 서울 통의동 카페에서 만난 두 감독은, 아무도 하지 않은 이야기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밀고 나간다는 점에서 분명 젊었다.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스틸컷. 시네마달 제공

<임신한 나무…>의 주인공은 기지촌 여성인 박인순씨다. 영화는 전반부까지 그의 삶을 다큐적인 관점으로 응시한다. 그는 한국전쟁 때 고아가 됐다. 짜장면 세 그릇을 사준 아주머니가 그를 경기도 파주 기지촌에 넘겼다. 본명도 모르던 그는 포주의 이름을 따 박인순이 됐다. 미군부대가 이전하면서 포주를 따라 의정부 뺏벌마을로 왔다. 미군과 결혼해 시카고로 건너가 살았다. 남편은 학대와 폭력을 일삼았다. 결국 아이들을 두고 다시 뺏벌로 돌아왔다. “폐지 주우며 사는 인순 언닌 글을 몰라 그림을 그려요. 영화 제목은 언니의 그림에서 따왔죠. 언니가 폐지 위에다 딸에게 그림 편지를 쓰기도 했어요.”(김동령)

박인순을 인터뷰하던 미술작가는 폐업한 술집에서 귀신이 된 기지촌 여성을 목격한 뒤 작업을 접고 도망친다. “영화 속에서 교수와 미술작가는 박인순을 자신들의 언어로 정의 내리려 하지만 박인순은 그들이 바라는 대로 정의되지 않아요. 정형화된 피해자로 그들을 대하는 것도 일종의 폭력이죠.”(박경태)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스틸컷. 시네마달 제공

이 장면을 기점으로 영화는 다큐에서 박인순의 판타지로 전환된다. 수많은 여성과 아이들이 죽어나간 뺏벌에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박인순에게 저승사자들이 찾아오고 박인순은 그들과 함께 꿈을 실현한다. 다큐와 극영화가 접목돼 있는 이러한 형식은 두 감독의 전작인 <거미의 땅>(2016)에서도 표현된 바 있다. “김 감독은 <아메리칸 앨리>, 저는 <나와 부엉이>에서 이미 다큐로 기지촌 여성을 그려낸 적이 있거든요. 기지촌 여성들의 기억과 환상을 보여주는 게 기지촌 문제의 진실을 더 드러낸다고 봤습니다.”(박경태)

20여년 전 ‘두레방’이라는 여성단체에서 만난 이후 줄곧 기지촌을 배회한다는 두 감독은 박씨를 비롯해 자신들의 영화에 출연한 이들의 주거와 건강을 챙기는 등 인간적인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사실 인순 언닌 옛날에 하루 영화 3~4편을 본 영화광이었대요. 좀 슬픈 얘기인데, 손님이 안 걸리거나 너무 손님을 많이 받아서 걸어다닐 수 없으면 의정부 극장에 갔대요. 길거리 여성이 아주 적은 돈을 들여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 극장이었던 거죠.”(김동령)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의 김동령·박경태 감독(왼쪽부터). 시네마달 제공

기지촌 여성들에게 성급한 위로나 치유보다는 상황이 더 나빠지지 않게 ‘유지’하는 자세로 다가가려 했다고 할 정도로 남다른 윤리적 태도를 견지한 두 감독은 “관계에 대한 성찰이 있으면 소재주의에 빠지지 않는다”며 “우리 스스로 이러한 방식을 따르고 싶었다”고 했다.

오승훈 기자 vino@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