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일자리와 청년, 중장년 취업 수요 연결 지원

2022. 1. 25. 14: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1월 26일(수) 구직·구인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 등 구직자와 중소기업간의 일자리 연결(매칭)을 위해 `22년 '기업인력애로센터* 활용 취업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기업인력애로센터를 통해 청년, 중장년 등 다양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직무교육과 취업상담(컨설팅)을 제공하고, 취업까지 연계해 1,630개사의 중소기업에 3,080명*이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1월 26일(수) 구직·구인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 등 구직자와 중소기업간의 일자리 연결(매칭)을 위해 `22년 ‘기업인력애로센터* 활용 취업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 (기업인력애로센터) 구직자와 구인 중소기업의 일자리 연결오류(미스매치) 해소와 맞춤형 인력양성 및 취업지원을 위해 중진공 16개 지역본부가 운영하는 맞춤형 ‘일자리연결체제(일자리매칭플랫폼)’

지난해 기업인력애로센터를 통해 청년, 중장년 등 다양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직무교육과 취업상담(컨설팅)을 제공하고, 취업까지 연계해 1,630개사의 중소기업에 3,080명*이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 취업 중소기업 업종은 제조업(41.6%), 정보통신업(17.4%), 도소매업(10.9%) 순이며, 청년층(76.8%)과 중장년층(23.2%), 수도권(53%)과 비수도권(46%)의 비율로 채용됨

올해 추진할 주요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구직자 취업상담(컨설팅) 및 취업연결(매칭) 지원

중소기업 취업희망 구직자를 대상으로 전문상담사가 취업상담(컨설팅)을 제공하고,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의 정책자금, 수출 등 지원사업을 통해 발굴된 우수 중소기업의 일자리에 취업까지 지원한다.

올해는 신산업과 지역주력산업 중심으로 일자리 연결(매칭)을 강화하고, 지난 1.5(수) 개통한 중진공 기업인력애로센터 ‘일자리연결체제(일자리매칭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맞춤형 구인·구직 지원서비스*를 보다 강화할 예정이다.

* ▲ 전문상담사 연결(매칭), 인공지능(AI)추천 연결(매칭), 구인·구직자 직접 연결(매칭) 등 연결(매칭)방식 다양화

▲ 인공지능(AI)모의면접, 인적성검사, 엔씨에스(NCS)기초능력검사, 일자리박람회 체제(플랫폼) 제공 등 취업지원

② 대·중소기업 상생일자리 프로그램 운영

대기업의 우수한 교육·훈련 기반(인프라)를 활용해 청년 구직자에게 직무교육을 제공하고 협력 중소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중소기업 상생일자리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 (사업단) 10개 사업단(대·중견기업+협력사) 190백만원 내외의 프로그램 운영비 지원

(청년) 교육기간 내 주 10만원(최대 8주 80만원) 훈련수당 지원

올해는 인력수요가 증가하고 청년이 선호하는 정보기술(IT), 반도체, 소프트웨어(SW), 생명(바이오)산업 등 신산업 분야 대·중소기업 사업단의 참여를 확대해 취업성과를 제고할 계획이다.

③ 현장지도(코칭) 숙련인력 양성·공급

명장 등 기술·경영 전문가가 구직자에게 현장에 특화된 1:1 현장지도(코칭)과 실습을 집중 지원해 숙련인력으로 빠르게 안착하도록 돕는다.

* (기업) 인건비 60만원(최대 3개월 180만원)과 코칭비 50만원(최대 12회 600만원) 지원

올해는 숙련기술 축적이 필요한 제조업을 중심*으로 지원을 강화하고, 현장 전문가의 지도(코칭) 품질도 평가해 사업의 효과도 높일 예정이다.

* 업종별 지원인원 한도 : 제조업(3명), 기타 업종(1명)

④ 지능형(스마트)제조기업 일자리묶음(패키지) 지원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도입기업을 중심으로 구직자와 구인기업 간 ‘취업매칭-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직무교육’까지 일괄 지원한다.

* (기업) 인건비 60만원(최대 3개월 180만원), (인력) 교육 참여보조비 20만원(최대 3개월)

올해는 지난해보다 예산을 2배로 확대(7억원 → 15억원)해 더 많은 기업과 구직자가 혜택을 볼 수 있다.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자금, 수출, 기술분야 정책지원 과정에서 발굴한 기업의 구인수요를 기반으로 구직자를 맞춤 지원하기 때문에 높은 취업만족도를 보이고 있다”면서,

“올해는 신규 개통한 ‘일자리연결체제(일자리매칭플랫폼)’을 활용, 구인·구직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AI) 추천 매칭 등 취업지원 기능을 강화해 중소기업과 구직자의 인력수급 연결오류(미스매치) 해소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과 구직자는 중진공 기업인력애로센터 일자리연결체제(일자리매칭플랫폼)(job.kosmes.or.kr)에 가입하거나 전화(1899-3001)로 문의하면 된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인력육성과 정민수 사무관(☎ 044-204-779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기업인력애로센터 활용 취업지원 주요내용
 

1. 총괄

□ 구직자 취업컨설팅, 현장코칭, 직무교육 및 중소기업 취업연계를 지원하여 지역 중소기업 및 구직자의 구인·구직난 애로 해소

□ 사업 내용

(단위 : 백만원)
지원유형 지원내용 지원대상 예산 접수
취업컨설팅 및 취업매칭 기업인력애로센터 등을 통해 발굴한 구인기업과 취업컨설팅, 직무교육 등을 통해 발굴한 구직자를 취업매칭 구직자,
중소기업
3,503 연중
대·중소기업 상생일자리 프로그램 대기업 교육 기반(인프라)를 활용하여 청년 구직자에게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대기업 협력 중소기업에 취업 연계 청년 구직자,
대기업 협력 중소기업
2,800 2월~
현장코칭 숙련인력 양성 구직자 취업매칭 후 직무교육과 외부전문가를 통해 현장직무에 특화된 1:1 현장코칭(최대 3개월) 제공 경력 1년 이상 실업자, 중소기업(제조업 우대) 1,200 2월~
스마트제조기업 일자리패키지 스마트공장 도입기업과 경력직 구직자를 취업매칭 후 직무교육 제공 구직자,
스마트제조 중소기업
1,500 2월~
 
□ 취업지원 체계
 
  금융위, 과기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cc07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pixel, 세로 35pixel

협업
중소벤처기업부
(총괄, 기본계획수립)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cc07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pixel, 세로 35pixel

협업
국방부, 병무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c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pixel, 세로 26pixel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업인력애로센터)
 
 
구인기업 발굴 구직자 발굴
     
• 중진공 지원기업 연계
• 우수기업DB 활용
• 세부계획수립, 사업관리
• 취업매칭, 사후관리
• 지원사업홍보 (유입촉진)
• 취업컨설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c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pixel, 세로 32pixel
연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c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pixel, 세로 32pixel
   
    보조사업자   사후관리센터    
                   
    • 대중소기업 상생일자리
• 현장코칭 숙련인력양성
• 스마트제조기업 일자리 패키지
  • 취업매칭 지원
• 사후관리 지원
   
 
2. 세부사업별 추진계획

2-1. 취업컨설팅 및 취업매칭

□ 사업 목적

기업인력애로센터* 등을 통해 발굴한 구인기업과 취업컨설팅, 직무교육 등을 통해 발굴한 구직자를 취업매칭 및 사후관리 지원

* 중진공 16개 지역본부 內 기업인력애로센터 설치·운영(’17.3월~)

□ 지원대상

중소기업 및 중소기업 취업희망 구직자

□ 지원 내용

(일자리연결체제(일자리매칭플랫폼)) 중소벤처기업 구인·구직 매칭을 위한 기업인력애로센터의 취업매칭시스템*으로 다양한 일자리 지원 서비스 제공

* 22.1.5 오픈 후 운영중(job.kosmes.or.kr)

- (구직자) 이력서등록, 입사지원관리, AI추천매칭, 모의면접, 인적성 검사 등 취업지원서비스 제공

- (기업) 구인등록, 지원자 관리, 인재검색 등 채용지원서비스 제공

(취업매칭) 중소기업인식개선 교육 및 취업컨설팅 등을 통해 중소기업 취업희망 구직자 발굴 후 우수중소기업에 상시 취업 연계

(사후관리) 전문 상담사를 활용한 취업상담 및 매칭지원 지속

□ 추진일정 : 연중

□ 문의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일자리연결체제(일자리매칭플랫폼)(job.kosmes.or.kr)

기업인력애로센터 대표전화 ☎(1899-3001)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일자리운영팀 ☎(055-751-9816)

2-2. 대·중소기업 상생일자리 프로그램

□ 사업 목적

대기업 교육 기반(인프라)를 활용하여 청년 구직자에게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대기업(중견기업) 협력기업에 취업까지 연계

□ 지원대상

(기업) 대·중견기업 협력 중소기업 (10개 사업단* 내외)

* 사업단(대기업·중견기업+협력중소기업) 구성을 통해 사업 참여

(구직자) 만 34세 이하 청년 구직자 (550명 내외)

□ 지원 내용

(직무교육) 인력 당 2주 이상(최대 2개월) 협력기업 취업교육 제공

* (대기업) 공통의 교육 수요 파악 후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훈련수당) 교육생에게 교육기간 내 주 10만원 (최대 8주 80만원)

(취업연계) 교육 종료 후 협력 중소기업에 취업매칭

* (교육 전) 청년구직자와 협력사 인사담당자간 사전 매칭 실시

(교육 중) 사전 매칭기업 현장 방문 등을 통해 취업 의사확인 및 재매칭

□ 지원절차 및 추진일정 : 연중(2월 9일 사업단 모집공고 예정)

 
①사업단
선정
②기업 선정 및 과정개발 ③구직자
신청·매칭
④직무교육
(2주이상)
⑤최종
취업 연계
⑥미취업자
재매칭
⑦사후
관리
중진공
·보조사업자
사업단 사업단 사업단 사업단 중진공 중진공
 

□ 문의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일자리연결체제(일자리매칭플랫폼)(job.kosmes.or.kr)

기업인력애로센터 대표전화 ☎(1899-3001)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일자리운영팀 ☎(055-751-9864)

2-3. 현장코칭 숙련인력 양성

□ 사업 목적

구직자에게 직무교육을 제공하고, 외부전문가를 통해 현장직무에 특화된 1:1 현장코칭(최대 3개월)하여 전문인력 양성

□ 지원대상

(기업) 제조분야 숙련공 등 구인애로 중소기업 (150개사 내외)

* 정규직 채용 기업 우선 지원, 기업 당 최대 3명 지원(비제조업 최대 1명)

(구직자) 경력 1년 이상 실업자* 또는 관련 자격증 소지자 (300명 내외)

* 경력증명서, 4대 보험 가입 확인서(구직자 제출) 등으로 증빙

□ 지원 내용

(직무교육) 인력 당 교육(3일이내) 1회

(현장실습) 인력 당 기업보조비(인건비) 월 60만원 (최대 3개월 180만원)

(현장코칭) 전문가* 현장방문 맞춤형 코칭(5시간/일, 최대 12회)

□ 지원절차 및 추진일정 : 연중 (2월 9일 참여기업 및 참여자 모집공고 예정)

 
①구인기업·
인력 모집
②전문가지정·협약서 작성 ③직무교육
(사업기간 내)
④현장코칭·
현장실습
⑤코칭·훈련
수당 지급
⑥연계지원·사후관리
중진공
·보조사업자
기업·인력·전문가·보조사업자 중진공
·보조사업자
기업·인력·전문가·보조사업자 보조사업자
→기업·전문가
중진공
·보조사업자
 

□ 문의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일자리연결체제(일자리매칭플랫폼)(job.kosmes.or.kr)

기업인력애로센터 대표전화 ☎(1899-3001)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일자리운영팀 ☎(055-751-9864)

2-4. 스마트제조기업 일자리패키지

□ 사업 목적

스마트공장 도입기업과 경력직 구직자를 매칭, 직무교육을 통해 제조 전문인력으로 양성 공급

□ 지원대상

(기업) 스마트공장 도입(예정) 중소기업 (200개사 내외)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참여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 확인기업,

스마트공장 도입 예정기업 포함

(구직자) 스마트제조기업 취업희망자 (300명 내외)

□ 지원 내용

(직무교육) 인력 당 스마트공장 기초·심화과정으로 구성 (3개월)

 
- (기초) 온라인연수 48시간 또는 3개 과정
- (심화) 65시간(5회)
* 전문가현장맞춤연수(5시간/회)+프로젝트(8시간/회)
1개월 2개월 3개월
온라인연수 48시간 또는 3개과정 -
- 현장맞춤연수 5회 (65시간)
 

(현장실습) 인력 당 기업보조비(인건비) 월 60만원 (최대 3개월 180만원)

(참여보조비) 참여자에게 실습기간 내 월 20만원 (최대 3개월 60만원)

□ 지원절차 및 추진일정 : 연중 (2월 9일 참여기업 및 참여자 모집공고 예정)

 
①구인기업·
인력 모집
②협약서 작성 ③직무교육·
현장실습
④훈련수당 및 참여보조비 지급 ⑤연계지원·
사후관리
중진공
·보조사업자
기업·인력·
보조사업자
중진공
·보조사업자
기업→인력
보조사업자→기업·인력
중진공
·보조사업자
 

□ 문의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일자리연결체제(일자리매칭플랫폼)(job.kosmes.or.kr)

기업인력애로센터 대표전화 ☎(1899-3001)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일자리운영팀 ☎(055-751-9864)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