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환의 인사이트] FOMC 앞둔 변동장세..지금 꼭 살펴야 할 '시그널'은?

SBSBiz 2022. 1. 25. 09:3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와이드 이슈& '김석환의 인사이트' -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선임연구위원

[글로벌 증시 흐름 점검]

◇ 전일 미국증시 체크포인트는?

- '천당과 지옥' 오간 美증시…흐름 진단은?
- 다우 0.3%·S&P 0.28%·나스닥 0.63%↑
- 극적인 하루, 뉴욕증시 막판 상승 반전
- 3.3% 떨어졌던 다우 0.3%로 상승 반전
- S&P 500도 0.6% 오른 뒤 거래 마감
- 연준 긴축 예고에 우크라 사태 여파
- "낙폭과하다"…장마감 앞두고 주요지수 반등
- 장 막판 "과매도株 사자" 저가 매수세 몰려
- "이번 조정장의 막바지 단계에 온 것"
- 실적 발표한 美기업의 74%, 컨센서스 상회
- 10년물 국채금리, 1.763%→1.711%→1.761%
- 나스닥 - 4.89%에서 0.64% 상승 마감
- 테슬라, 장중 6% 하락→- 1.48% 마감
- 엔비디아, 장중 6% 하락→- 0.01% 마감 
- 넷플릭스, 장중 10% 급락→낙폭 줄여 - 2.61%
- 메타 1.82%·MS 0.11%·알파벳 0.34%↑
- 항공주, 델타항공 0.13%·AA 0.67%↑
- WTI, 2.15% 하락한 배럴당 83.31달러
- 나스닥 상승반전하자 비트코인 5% 급등

◇ 전일 국내증시 체크포인트는?

- 코스피 2800선 붕괴…코스닥 약 3% 하락
- 코스피, 13개월 만에 2800선 붕괴…2792P 마감
- 코스피, 42.29p(1.49%) 내린 2,792.00 마감
- 코스닥, 27.45p(2.91%) 내린 915.40 마감
- '검은 월요일' 910선 턱걸이…미국 증시 급락 여파
- 우크라 긴장감 고조에 2800 붕괴…연중 최저점
- 미국 금리인상 공포에 코스피 장중 2800선 붕괴

◇ '1월 효과' 어디갔나…처참한 증시 원인은?

- 1월 글로벌 금융시장 흔든 변수 '3가지'
- 연준 스탠스·지정학적 불안·오미크론 확산
- 증시·비트코인 급락→공포지수 급등해 투심 악화
- 금리 하락과 안전자산 선호…달러가치·금값↑
- 국제유가 상승…인플레이션 압력 커져

◇ 2020년 3월 이후 최악의 한 주…평가는?

- 나스닥·S&P500·러셀2000 기술적 지지선 붕괴
- '기술주 투매' 나스닥 주간 - 7.6%
- 나스닥, 올해 12% 폭락…14년 만에 '최악 스타트'
- 증시 극적 부활에도…'베어마켓' 우려 여전

◇ 올해 수익을 낼 수 있는 가장 유망한 섹터는?

- S&P500 기업들의 섹터별 수익률은?
- 11개 섹터 중 에너지·금융만 플러스 수익률
- 기술, 부동산 섹터가 가장 가파른 낙폭
- 믿을 건 에너지주 뿐…고유가 타고 더 오른다?
- "유가 최대 125달러"…에너지 섹터 강세
- 에너지·필수소비재·유틸리티 선방

◇ 시장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흔들리는 눈빛?

- 개인투자자협회(AAII)의 주간 투자자심리지수
- 6개월 강세장 점치는 투자자, 전체의 21.0%
- 약세장 예상하는 투자자, 전체의 46.7%로 폭등
- 美 투자자, 증시 비관론 팬데믹 수준 '악화' 
- VIX, 장중 38 넘어…2020년 11월 이후 최고

◇ 200일선 깨진 美증시…회복은 언제쯤?

- S&P500, 지난주 200일 이동평균선 하향 돌파
- 장중 52주래 최고점 대비 10% 떨어지는 조정 영역
- 나스닥→다우→S&P500 200일선 하향 이탈
- 나스닥 200일선 이탈 후 회복까지 평균 378일 소요
- 지금 힘들어도…급락 후엔 급등 나온다?

◇ 서학개미 최애 종목…200일선이 관건?

- 테슬라, 200일선 지지 후 저가매수세 유입
- MS, 200일선 이탈 후 강한 매수세 유입

◇ 오늘 美 FOMC회의 시작…체크포인트는?

- 최근 주식시장 하락의 트리거 '연준의 입'
- 파월 의장의 '매파' 발언 강도에 촉각
- 기준금리 인상 시점과 폭에 대한 힌트에 주목
- 브레이너드 "연준 우선 과제는 인플레이션" 
- 중서부 매파 vs. 워싱턴 비둘기파?
- 월러·불러드·조지 '양적 긴축' 주도
- 연준 신임 이사 3명 '비둘기파'로 분류
- 3월 금리인상 등 단기정책 이견 적어
- 하반기 갈수록 긴축강도 놓고 충돌할듯

◇ 연준의 양적긴축 충격…금리인상 충격의 몇 배? 

- 인플레이션 극복을 표방한 포드 대통령 
- WIN(Whip Inflation Now) 도입…시장 4.6%↑
- 골드만삭스 "美 연준, 올해 8번 긴축 하려들 수도"
- 파월 의장 "양적 긴축 하반기 검토" 발언 주목

◇ 연준의 금리인상 브레이크는 '과도한 부채'?

- 코로나19로 폭증한 부채가 금리상승 제어 가능성
-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주요 국가 중 최상위권
- "막대한 부채가 빠른 금리인상 막을 것"
- 결국 중립금리는 연준의 예상수준 2~2.25%

◇ 배럴당 100달러 뚫릴까…유가 급등세 여파는?

- 유가 급등에 물가·금리 줄줄이 비상
- 장단기 금리차와 기대인플레이션 안정적 흐름
- 1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0.7
- 생산자 원가 상승 부담 여전→소비자 부담  
- 미국의 1월 제조업과 서비스업 경기 모멘텀 둔화

◇ 믿을 건 실적과 밸류에이션 뿐…투자 전략은?

- S&P500 12개월 선행 PER, 19.9배까지 하락
- '저금리·인플레 우려' 악재 낀 증시…실적주로 방어
- 산업재·경기소비재·에너지 등 이익 매출 살펴야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