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사교육비 격차.."소득 상위 20%가 하위 20%의 8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득 상위 20% 가구의 초·중·고교생 자녀 사교육비가 하위 20% 가구의 8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25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분기 기준 만 7~18세 자녀를 둔 가구 상위 20%인 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 자녀 사교육비는 87만2000원이었습니다.
반면, 하위 20%인 소득 1분위 가구의 평균 자녀 사교육비는 10만8000원이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득 상위 20% 가구의 초·중·고교생 자녀 사교육비가 하위 20% 가구의 8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25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분기 기준 만 7~18세 자녀를 둔 가구 상위 20%인 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 자녀 사교육비는 87만2000원이었습니다.
반면, 하위 20%인 소득 1분위 가구의 평균 자녀 사교육비는 10만8000원이었습니다. 이외 소득 분위에서는 2분위 가구 21만5000원, 3분위 40만 원, 4분위 48만2000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모 세대의 교육 격차가 다시 자녀 세대의 교육 격차에 영향을 준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습니다. 가구주의 학력이 초등학교 졸업인 가구 중 70.5%는 소득 1·2분위인 반면에, 가구주의 학력이 4년제 이상 대학교 졸업인 가구는 79.6%가 소득 4·5분위에 속했습니다.
부모 세대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의 사교육비도 증가했습니다. 초졸 가구의 자녀 사교육비는 평균 5만2000원으로, 대졸 가구의 평균 자녀 사교육비인 70만4000원의 7.4% 수준입니다.
김 의원은 "교육 격차가 소득 격차로, 소득 격차가 교육 격차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으려면 먼저 아이들의 교육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며 "프랑스의 우선교육정책을 벤치마킹해 교육 격차가 심한 지역이나 계층에 대폭적인 교육 투자를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윤석열 41%-이재명 38.3%…″MBC, 李 녹취 보도해야″ 59.9%
- '장제원 아들' 장용준 체포 영상 법원서 재생…경찰에 욕설 '수두룩'
- 김건희 ″난 밥 안 하고 남편이 다 해″…진중권 ″험담이냐 미담이냐″
- [단독]″4년 전 치료 마음에 안 들어″…임신 중인 치과 원장 폭행
- 박세영 결혼발표 '예비신랑은 ♥곽정욱..'학교 2013' 인연'(공식입장 전문)
- 진중권 정의당 복당에 ″윤석열 선거운동원과 다름 없어″
- [영상] '고향' 성남서 눈물 터뜨린 이재명…″아픈 상처 그만 헤집으십시오″
- AOA 설현, 글래머스한 볼륨감+쫙 뻗은 각선미…도발적 섹시美[M+★SNS]
- 배수지, 세상 혼자 사는 미모…청초한 예쁨 폭발[M+★SNS]
- 2주 만에 24시간 수색 체제로…정부차원 수습본부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