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하프타임 때 알아야 할 것들

원종태 에디터 2022. 1. 25. 04: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
스포츠에는 하프타임이라는 게 있다. 치열했던 전반전이 끝나고 전열을 정비하는 시간이다. 하프타임 때 경기에서 뒤진 팀은 냉엄한 숫자의 현실과 마주한다. 만약 상대팀이 점수를 더 많이 얻었다면 후반전에선 그들과 똑같이 뛰어선 이길 수 없다. 하프타임 때 전반전에서 뒤진 이유를 찾고, 후반전에서 더 많은 점수를 얻는 묘수를 끌어내야 한다.

그러나 어떤 스포츠이던 전반전에서 리드 당한 팀이 경기에서 이길 확률은 낮다. 이것은 선수들의 이기려는 의지와는 별개다. 숫자가 말해주는 확률이 그렇다. 이기려는 의지가 있어도 이기기 어렵다. 하지만 예외가 있다. 의지가 숫자를 압도할 수 있다면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조나 버거와 시카고 대학교 데빈 폽은 NBA 경기 중 15년치에 달하는 1만8000회 경기의 하프타임을 분석했다. 그들은 하프타임 당시 양팀 스코어를 집중 연구했다. 그 결과 하프타임에서 6점 이상 앞서면, 경기에서 이길 확률이 80%였다. 80%라는 숫자는 대세가 이미 기울었다는 의미다.

하지만 버거와 폽은 나머지 20% 중에서 아주 특이한 경우를 발견했다. 만약 단 1점 차로 뒤진 채 하프타임을 맞는다면 앞선 팀보다 뒤진 팀이 승리할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이다. 특히 1점 차로 뒤진 홈팀이 경기에서 이길 확률은 58%에 달했다. 버거와 폽은 이 팩트를 검증하기 위해 또 다시미국대학스포츠협회(NCAA) 농구 경기 결과 4만6000회를 더 뒤졌다. NCAA 농구 경기에서도 똑같았다. 전반전에 1점 차로 뒤진 팀 선수들은 하프타임 때 의욕을 불살랐다. 그리고 그들은 후반전에 더 분발했다.

2
하프타임의 반전은 거저 오는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그때까지 결과를 냉철하게 중간 정산하고 다시 한번 상황을 받아들인 뒤 차분하게 대비해야 한다. 전반전에 졌다고 씩씩거리기만 하면 반전은 없다. 다니엘 핑크는 저서 '언제 할 것인가'에서 이 하프타임의 어려움을 냉정하게 극복하는 요령 몇 가지를 제시했다. 이는 곧 우리 삶의 하프타임에도 활용할 수 있다.

우선 목표한 것을 통째 다루지 말고 작은 단위로 쪼개야 한다. 예컨대 다이어트를 하거나, 마일리지를 모으거나, 원리는 같다. 처음에는 강한 의욕을 보이다가 하프타임인 중간 쯤이 되면 늘 느슨해진다. 만약 2만5000점의 마일리지 수집이 목표라면 1만2000점 정도에서 게으름을 피우고 싶어진다. 이럴 때는 내가 추가로 모아야 할 마일리지가 1만3000점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그냥 1000점씩 차곡차곡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마라톤으로 치자면 반환점을 돌고부터는 결승점까지 남은 거리를 생각하지 말고, 1킬로미터 단위로 짧은 목표를 만드는 것이다. 그 작은 단위들을 이겨내며 완주하는데만 집중한다.

3
인생의 하프타임은 스포츠와 또 다르다. 의욕도 중요하고, 쪼개기도 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스스로를 격려할 줄 알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자신에게 이메일을 한번 써보라고 조언한다. 당신의 마음을 어루만져 줄 누군가 있다면 이런 말을 해줬을 것이라고 상상하면서, 메일을 적어보는 것이다. 당신보다 훨씬 너그러운 사람이 조건 없는 사랑을 바탕에 깔고 바로 당신에게 보내는 메일이다.

이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행동 변화를 끌어낼 내용이 있다면 더 좋다. 내가 실생활에서 바꿀 수 있는 일들이나 미래를 더 밝게 해줄 방법에 대해 스스로에게 적어보자. 이런 스스로에 대한 격려로 나 자신을 대접하는 법을 알게 된다. 결국 인생의 하프타임에서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을 더 믿고, 더 대접하고, 더 소중히 여기는 것이다. 그래야 후반전 판도가 달라진다. 만약 전반전에서 살짝 슬럼프가 왔다고 해도 신경 쓰지 말자. 다니엘 핑크를 인용하면 슬럼프는 감기와 같다. 당장은 힘들지만 언젠가 사라지게 돼 있다. 그리고 사라진 뒤에는 잘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원종태 부국장

[관련기사]☞ "송지아가 한양대 여신? 처음 들어"…한양대생들 '어리둥절'"송지아父, 치과의사 아냐…어떻게 돈 벌었는지 알아"현아♥던, 생중계 무대서 딥키스…"헉, 할리우드인 줄""돈 많은 남자가 취향일 뿐"…美여배우, 카니예와 또 데이트'옛 사랑' 설현·지코, 결별 5년만에 만났다…"난처하네"
원종태 에디터 gogh@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