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폐쇄로 조용한 MLB..'명예의전당' 투표결과가 기다린다

노도현 기자 2022. 1. 24. 16: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경향]

보스턴의 데이비드 오티스가 2016년 10월11일 클리블랜드와의 아메리칸리그 디비전시리즈 3차전이 끝난 뒤 팬들에게 모자를 벗어 답례하고 있다. 보스턴 | AP연합뉴스


직장폐쇄로 얼어붙은 메이저리그를 들썩이게 하는 일이 하나 있다. 발표를 코 앞에 둔 ‘명예의전당’ 투표 결과다.

MLB네트워크는 26일 오전(한국시간) 전미야구기자협회(BBWAA)가 진행한 2022 메이저리그 명예의전당 투표 결과를 공개한다. 메이저리그에서 10시즌 이상 활약한 선수가 5년 이상 미국 프로야구에서 뛰지 않는다면 명예의전당에 오를 자격을 얻는다. 전미야구기자협회가 추린 후보를 두고 소속 기자 약 400명이 투표한다. 헌액 기준인 득표율 75% 이상을 얻을 때까지 10번의 기회가 있다. 지난해에는 신규 헌액자가 없었다.

헌액이 유력한 인물은 올해 처음 후보 자격을 얻은 보스턴 레전드 ‘빅 파피’ 데이비드 오티스(47)다. 투표 결과를 합산해 공개하는 ‘명예의전당 트래커’에 따르면 24일 오전 기준 178명 중 83.7%(149명)이 오티스에게 표를 던졌다. 사전 집계 결과와 실제 개표 결과가 차이를 보여왔다는 점을 감안해도 명예의전당 입성 전망이 우세하다.

사전 집계에서 75%를 넘은 인물이 두명 더 있다. 올해 10번째 도전인 배리 본즈(58)와 로저 클레멘스(60)다. 두 사람은 각각 77.5%(138명), 76.4%(136명)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실제 개표 결과가 사전 집계보다 11%포인트 낮게 나왔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명예의전당에 오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기록만으로는 이미 입성하고도 남을 레전드다. 하지만 금지약물 논란이 번번이 발목을 잡았다. 약물에 대한 반감은 점차 희미해 졌지만 헌액 여부는 두고봐야 한다. 둘 다 첫 투표 때 30% 후반에서 출발해 지난해 60%대를 기록했다.

오티스도 본즈·클레멘스처럼 약물 의혹을 받기는 마찬가지다. ‘오티스가 2003년 메이저리그에서 실시한 비공개 약물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는 보도가 2009년 나왔다. 2016년 롭 맨프레드 MLB 커미셔너는 ‘2003년 당시 최소 10건의 잘못된 양성 반응이 있었고 오티스가 그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동료들의 증언을 비롯한 뚜렷한 증거가 없어 다른 선수들보다는 덜 비판받는다는 것이 현지 매체들의 분석이다.

올해 처음 후보가 된 알렉스 로드리게스(47) 역시 약물 규정 위반으로 징계를 받은 이력 탓에 난관이 예상된다. 약물 복용 의혹을 받는 새미 소사(54)와 혐오 발언 등으로 인성 논란에 휩싸인 커트 실링(56)은 마지막 도전에도 쓴맛을 볼 것으로 보인다.

노도현 기자 hyunee@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